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생태위기의 근원은 종교(기독교)?
2. 린 화이트 주장의 수용과 비판: 태도와 행동의 불일치
3. 종교는 기후위기에서 구출할 수 있는가?
4. 인류세 시대의 종교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종교의 종말 이후 - 헤겔의 종교비판과 대안종교의 전망을 중심으로 -
현대유럽철학연구
2022 .01
종교교재 개발의 과제와 전망
종교교육학연구
2024 .09
새로운 종교운동들에 대한 과학적 연구의 흐름: 한국의 종교를 중심으로
한중인문학포럼 발표논문집
2020 .09
한국종교, 30년간의 변화와 종교사적 과제
종교문화비평
2015 .01
신, 종교, 그리고 구원 - 자연종교에서 계시종교로 -
철학논집
2016 .11
종교개혁 500주년을 지나며
신학정론
2017 .12
현대 한국의 안티 종교운동
대순사상논총
2017 .12
종교의 자리
제3시대
2019 .11
3 · 1운동과 종교계의 역할
한국기독교와 역사
2017 .09
기후붕괴시대 종교의 역할과 방향
종교연구
2023 .04
Syncretistic Nature of Egyptian Religiosity —A Field Survey
아랍과 이슬람 세계
2017 .12
종교교육학의 관점에서 본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국종교 -그 과제와 전망-
종교연구
2022 .04
Disfavoring Religion as an Unsustainable Reason for Overriding Equal Treatment: Based on Critical Analyses of the Case, Locke v. Davey
신학논단
2020 .12
종교와 지구화 : 근대 종교체계의 형성, 탈구, 확장
종교연구
2019 .04
Academicizing Interreligious Studies in Korea: The Potentiality and Possibility of chonggyo-kwan’gye-hak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23 .07
헤겔의 『정신현상학』에서 자연종교와 예술종교의 위상
동서인문
2018 .10
한국의 인구주택총조사 종교문항에 대한 반성적 고찰과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신학과 사회
2021 .01
학교의 종교교육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논의 : 한국 “종교교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선교와 신학
2016 .10
종교개혁과 여성
신학정론
2017 .06
한국사회의 중층신앙과 다종교교육의 가능성
종교교육학연구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