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1. 서론
2. 한국어 고유어 색채어와 연구 대상
3. 접사 파생 형용사 색채어와 접사의 의미 자질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北韓語 色彩 派生語의 派生 樣相과 意味 分析 – 조선말대사전(2017)의 色彩語를 對象으로–
어문연구(語文硏究)
2024 .09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 파생 동사 연구
이화어문논집
2017 .04
파생 동사 한자어 어근의 동사성과 논항구조
어문론집
2019 .12
신조어 생성 가능성의 관점에서 본 형용사 파생 접사 연구
인문과학연구
2018 .12
‘형용사+게’의 부사 되기- 표준국어대사전의 ‘‘형용사+게’ 꼴로 쓰여’ 분석을 중심으로 -
한말연구
2016 .09
접사의 유사 - 기호성 성격 - ‘있음’ 및 ‘없음’을 뜻하는 한국어, 우즈베크어 파생접사의 동의관계를 중심으로 -
이중언어학
2016 .12
한국어 교육을 위한 유의 관계 접사 사용 양상 분석 - 가격·금액을 나타내는 어휘를 중심으로 -
반교어문연구
2015 .01
도상성을 적용한 한국어 색채 어휘 변별 방안- ‘검다’와 ‘희다’를 중심으로 -
언어와 문화
2015 .01
한자 파생 접사 인식도와 생산성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글
2019 .12
영어 파생어의 형태 · 통사적 특성과 출현 빈도가 학습 난이도에 미치는 영향
언어과학연구
2018 .06
현대중국어 준접사 고찰 -문법화 기제를 中心으로-
언어와언어학
2019 .01
현대 중국어 오색 색채어의 구조 小考
한중인문학연구
2017 .01
영미 아동의 접사 계층에 따른 파생어 습득 : CHILDES 데이터베이스 분석
언어
2016 .09
북한 문법 ‘상토’의 문법 범주 연구
한말연구
2021 .01
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의 접사 -한국어의 조사와 어미는 접사인가-
한국어학
2022 .11
신어 ‘-족’ 파생어의 원형효과로 본 파생법 습득모형 고찰
어문론총
2016 .12
교육용 어휘 선정을 위한 접두사의 생산성 연구 : 고유어 명사 파생 접두사의 분석
우리말글
2015 .06
한국어와 미얀마어 파생부사 대조 연구-형태론적 특성을 중심으로-
언어와 문화
2021 .08
신조어 접사의 형태 · 의미 특성 연구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2019 .04
한국어의 ‘변형 접사’에 대한 고찰
언어학
2024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