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 초록
Ⅰ. 들어가며
Ⅱ. 고급 속물의 착종적 명명(命名)
Ⅲ. ‘경계’의 속물성: 위선의 현시와 위악적 자기연민
Ⅳ. ‘공존’의 진정성: 세속의 인정과 ‘개진(開陣)’의 선언
Ⅴ.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속물과 군자 사이
청색종이
2022 .03
젠더화된 속물성과 동물성-<화차>와 <건축학개론>을 중심으로
석당논총
2015 .01
‘여성화된 빈곤’을 통한 전후소설 연구 -박경리의 『표류도』(1959)를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2024 .06
포스트-트루스 시대, 김수영의 「반시론(反詩論)」의 의의
문학과 종교
2018 .01
속물의 고고학 - 이호철의 『소시민』 연구
현대소설연구
2020 .06
온라인 강의와 오프라인 강의의 만족도 및 효과 비교 - 일본문화예술콘텐츠 강의 사례를 중심으로 -
일본문화학보
2021 .02
김수영과 한국전쟁 - “민간 억류인”이 달나라에서 살아남기
한국시학연구
2021 .08
이상(李箱)의 시와 초현실주의 시론이 김수영의 후기 시론에 미친 영향 : 「참여시의 정리」(1967)를 중심으로
한국시학연구
2017 .05
이산가족 소설에 나타난 한국사회의 욕망과 위선 - 박완서,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를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2020 .03
김수영 평전의 문제
한국시학연구
2020 .02
김춘수의 대담 : 내면고백과 합리화의 유혹을 넘어서
어문학
2017 .12
김수영 시의 역설 의식 연구
한국문학논총
2016 .01
[한국 단편 풀어읽기] 채만식, 〈치숙〉 : 속물 조카, 지식인 아저씨를 조롱하다
유레카
2024 .01
김수영 시와 신동문 시의 어휘 사용과 네트워크 연구
우리말연구
2015 .01
현실주의 시인들의 참여시와 각양(各樣)의 언어관
국제언어문학
2015 .04
『사랑』(1938), 또 하나의 전향서
춘원연구학보
2018 .12
김수영 시의 소외 연구
현대문학이론연구
2018 .01
‘벽’을 넘어가는 ‘사이’의 철학 - 김수영의 시
비평문학
2019 .06
김수영의 시에 나타난발언의 양상과 말하는 주체 -하이데거의 언어 철학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2019 .01
아내 : ‘천사’와 ‘여편네’ 그리고 ‘사랑’의 의미 : 김수영과 김춘수의 시에 나타난 ‘아내’의 거리
우리문학연구
2019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