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1. 머리말
2. 地理志와 地誌에 보이는 慶山과 所月里
3. 所月里 목간 地名의 지리적 범주
4. 맺음말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고려말 鄭道傳의 토지문제 인식과 전제개혁론
역사와경계
2016 .12
長沙走馬樓西漢簡中的“將田”小考
동서인문
2019 .10
‘義田’의 국내 수용과 전승 양상
동방한문학
2020 .01
식민지 시기 부산의 일본 기업인 사카타 분키치[坂田文吉]의 사회활동과 전기부영운동
인문사회과학연구
2020 .01
水稲農耕開始前後の日本列島․韓半島間交流
석당논총
2016 .01
평창군 민요의 읍 · 면별 전승 양상 - 노동요와 의식요를 중심으로-
강원민속학
2021 .03
고려 말 조선 초 토지제도 개혁과 사회 변화
역사비평
2017 .08
고려 경종대 시정전시과의 성립과 이념적 지향
역사와 세계
2016 .12
피해의 범주에서 소거된 비국민, 시베리아 ‘일본군’ 조선인 포로문제 -마이즈루 인양기념관 전시형태를 중심으로-
일본문화연구
2020 .01
원종 12년 祿科田 분급의 배경과 그 의미
역사와경계
2019 .03
19세기 전반 田稅 수입 감소와 量田 추진
학림
2023 .03
三國의 量制와 百濟 田積制에 대한 고찰
목간과문자
2020 .06
화이관(華夷觀)의 충돌, 18세기 중엽 조선과 일본의 사상 간극 - [長門癸甲文槎]를 중심으로
기전문화연구
2019 .01
<전우치전>의 욕망 구현 방식과 서사적 의미 : 신문관본 <전우치전>을 중심으로
돈암어문학
2015 .12
부부 학자의 인생 동반과 학문적 열정의 산물 -『韓國昔話集成』(전8권, 崔仁鶴 · 嚴鎔姬 編箸)의 완결 -
비교민속학
2020 .10
鶴峯 海槎錄 소재 漢詩의 문예적 특질과 주제 의식
열상고전연구
2019 .01
고전소설 속 지하국 대적 퇴치담의 수용 양상과 그 의미
열상고전연구
2015 .06
세책본 계열 <김원전>의 특징과 의미
고전문학연구
2024 .06
傳 樣式을 變容한 現代小說의 敎科書 收錄 樣相
어문연구(語文硏究)
2019 .01
영조 초기 안동 지역 남인의 정치적 동향
대구사학
2021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