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은희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저널정보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TORCH TRINITY Journal TORCH TRINITY Journal Vol.25 No.1
발행연도
2022.7
수록면
59 - 78 (20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종교개혁(The Reformation)을 촉발시킨 로마교회의 신학적 오류는 여러가지였다.
한마디로 종교개혁은 로마교회의 비성경적 가르침과 관행을 고쳐 신약교회의 원형으로 개혁하려는 운동이라 말할 수 있다. 즉 성경의 근본 사상으로 돌아가는 것이고 이는 율법과 의식적인 면에서 복음과 체험적인 신앙을 추구하고 개인의 신앙의 자유와 그리스도의 중보하심이라는 원래의 자리로 되돌리는 운동이었다.
연구자의 연구목적은 대표적 종교개혁자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 1483-1546)와 장 칼뱅(John Calvin, 1509-1564)의 신학 사상과 예배음악관을 고찰함으로 현대 한국교회 예배를 위한 적용점을 찾고자 했다. 현대 한국교회 예배가 겉으로는 개혁자들의 예배관을 따르는 것 같지만 실상은 세속주의와 인본주의의 영향으로 하나님 말씀 중심을 벗어나거나, 성 삼위 하나님을 찬양하는 예배음악이 아닌 인간이 주도하며 사람들을 기쁘게 하는 예배와 예배음악을 사용하는 경향으로 흘러가고 있음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기독교 예배는 성부 성자 성령 하나님께 경배하는 것이기 때문에 예배의 모든 요소도 하나님이 정하신 규정대로 하나님에게 합당한 것이어야 한다. 예배음악도 이 범주에서 벗어날 수 없다. 우리의 예배 대상이신 하나님을 높이는 찬양이 아니라 예배자들을 위로하고 격려하고 즐겁게 하려는 음악과 가사가 사용되는 것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예배음악은 반드시 그 내용에 있어서 성경에 근거한 것이어야 함을 루터와 칼뱅은 우리에게 교훈하고 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III. 현대 개신교회 예배를 위한 적용점
IV. 결론
참고 문헌
한글초록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