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10%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국문 초록
I. 머리말
II. 〈금제사리봉영기〉의 해석과 내용 구성
III. 미륵사 창건과 〈금제사리봉영기〉의 발원 주체
IV. 〈금제사리봉영기〉와 미륵사 창건의 사상적 배경과 목적
V.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미륵사의 창건 주체에 관하여 - 주요 쟁점 검토를 중심으로 -
한국고대사연구
2022 .06
백제 고고학 연구에서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유물의 의미
백제문화
2017 .08
백제 무왕대의 정국변화와 미륵사 조영
백제문화
2016 .02
雲門寺 소장 불교공예품의 현황과 특징 고찰
강좌 미술사
2018 .01
익산지역 백제 불교사원지의 특성과 불교유물을 통한 익산의 위상 -발굴조사 사례를 중심으로-
백제문화
2015 .02
중국 고성촌 2호 사원지 출토 사리장엄구 연구
고구려발해연구
2023 .11
百濟 益山 彌勒寺의 3塔 3金堂과 雙塔의 起源
백제연구
2015 .01
백제 무왕대의 건축물 조영과 정국변화
백제학보
2018 .01
慈藏傳來 佛舍利에 대한 『삼국유사』의 기록 검토
문물연구
2017 .01
感恩寺址 東三層石塔 舍利器의 建築樣式的 考察
동아인문학
2019 .12
西安地域에서 發見된 石塔 및 塔型 舍利容器에 대한 小考
백제연구
2015 .01
서산 보원사 사리기와 신라 하대의 해상 교류
신라사학보
2019 .08
익산 백제문화유산의 디지털콘텐츠 활용 연구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2017 .12
조선 세조 7년(1461) 사리분신(舍利分身) 상서의 출현과 역사적 의미
불교연구
2024 .02
백제 무왕과 서동설화의 역사성
백제학보
2019 .01
익산 미륵사의 공간구조와 3원 본존불 추정
문화사학
2024 .06
익산 미륵사지 출토 백제 수막새의 기초적 검토
백제학보
2018 .01
백제 미륵사지 라직물 금사 자수품 연구
백제연구
2022 .08
한국에서 새롭게 출토된 두 건의 백제 사료 연구 - <사리봉안기>와 ‘行貞觀十九年’ 가죽 漆甲의 명문을 중심으로 -
백제문화
2016 .02
백제 사비기 익산 개발 시기와 그 배경
백제연구
2015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