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 요약
1. 서론
2. 문학 독서에서 독자 역할 개념의 확장
3. 능동적 협력자로서 독자 역할의 실현 양상
4. 능동적 협력자로서의 문학 독자 역할의 문학교육적 효용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설창수론 : ‘전인(全人)’의 문학과 의지의 언어
우리문학연구
2016 .07
이광수와 沈從文의 ‘有情(유정)’사상 비교연구
춘원연구학보
2021 .04
다자영역적인 세계문학 읽기 교육 연구 –동의대학교의 「문학과삶」 실제수업사례를 중심으로-
대학교양교육연구
2020 .01
근대 부산·경남 지역의 매체 현황과 지역문학의 양상
국어문학
2017 .03
팬데믹 시대, 문학교육 앞의 질문들에 대하여
문학교육학
2021 .01
문학치료의 문학교육적 적용에 관한 고찰 - 교양문학수업의 치유적 가능성을 중심으로 -
문학교육학
2020 .01
학습자의 취약성에 근거한 문학사 재구성의 가능성 - 한국현대문학연구를 중심으로 -
국어교육연구
2024 .06
문학치료학과 문학교육학 사이(in-between): 따로 또 같이 그리는 미래
문학치료연구
2024 .01
문학을 통한 ‘나’라는 문학의 발견과 미적 실현 - 자기서사를 축으로 한 문학의 탐구와 교육 -
문학교육학
2024 .09
유튜브의 문학 콘텐츠 향유 양상과 문학 공간으로서의 가능성
인문콘텐츠
2022 .06
한국문학 번역에서 문학 번역가의 역할: 브루스 풀턴, 주찬 풀턴의 『한 명』 번역 결정부터 One Left 출판까지의 과정을 중심으로
번역학연구
2021 .06
문학치료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개인문학치료 사례를 중심으로-
문학치료연구
2020 .01
문학교육에서의 해석 교육 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해석의 개념과 목적을 중심으로-
한중인문학연구
2024 .03
번역을 통한 문학교류의 불균형성에 대한 고찰 : 한국과 베트남의 경우를 중심으로
번역학연구
2018 .10
한국문학장의 뉴노멀과 독자 문제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의 비평담론과 독자의 위상-
반교어문연구
2021 .08
심층적 문학체험과 문학양생
열상고전연구
2018 .01
장소 기반 문학 경험 연구 -문학관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
2022 .11
한문학 2014년 연구동향
고전과 해석
2015 .01
한문학 2020년 연구동향
고전과 해석
2021 .12
한문학 2015년 연구동향
고전과 해석
2016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