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Abstract
Ⅰ. 들어가며
Ⅱ. 성역할 사회화와 분노의 내면화
Ⅲ. 수잔의 분노 인지 및 표현의 회피
Ⅳ. 19호실 - 존스 부인의 방
Ⅴ. 나가며
인용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Multimodal Socialization: A multimodal movement in language socialization
사회언어학
2020 .01
When Arendt Meets Tragedy: Hannah Arendt’s Apology for the Democratic Values of Tragedy
비평과이론
2021 .10
분노에 대하여
한국여성신학
2024 .06
好意伝達表現の男女差に関する考察 -告白場面に見られる発話機能を中心に-
일본문화학보
2020 .08
독특한 현상으로서 비극의 역설: 인과적 접근과 동기 접근
美學(미학)
2018 .01
「1919년」: 희생의 역사를 거부하기
한국 예이츠 저널
2015 .01
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 II 2장의 분노 규정과 그에 반영된 그의 감정 이해
수사학
2017 .09
唐代以前 商人詩歌 硏究: 移動性과 異質性을 중심으로
세계문학비교연구
2015 .01
종교 사회화에서의 부모와 자녀의 상호작용에 대한 성찰
기독교교육정보
2015 .12
Anger and Revenge in Titus Andronicus
고전중세르네상스영문학
2020 .01
사띠의 분노조절 메커니즘
불교학연구
2022 .03
토마스 아퀴나스의 관점으로 본 “약자들”의 분노, 자기애, 그리고 정의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17 .04
Contentious Politics of ‘Anger’ in the Face of White Masculinity: Class, Race, and Gender in John Osborne’s Look Back in Anger
영미문학페미니즘
2015 .01
의고의 형식과 유가의 코드 : 18세기 영남 문인 權萬의 「和古詩十九首」 연구
민족문화연구
2015 .01
셰익스피어 4대 비극에 나타난 감정과 뇌의 반응
신영어영문학
2020 .11
두 주인공의 욕망 상승비교 -Great Expectations와 An American Tragedy를 중심으로-
미래영어영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9 .06
분노사회 일본―2000년대 이후 일본 사회・문화 분석―
日本學硏究
2018 .01
21세기 비극의 가능성—에드워드 올비의 <<염소, 혹은 실비아는 누구인가?>>
영어영문학21
2022 .06
Heart of Darkness as Tragedy: A Study in Genre
신영어영문학
2021 .11
The Academic Socialization Process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South Korea: The Role of Culture in Group Activities
현대영어영문학
202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