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영남지역 구곡원림의 유형에 따른 시적 형상화 양상과 그 지역문화적 특징
어문학
2019 .03
淸臺 權相一의 淸臺九曲 경영과 그 의미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2016 .01
선비들이 유람을 떠난 까닭 : 儒學과 遊覽
南冥學硏究
2015 .01
낙동강 연안의 구곡문화와 그 특징 –낙동강 중류 지역을 중심으로-
영남학
2022 .12
옥소 권섭의 <화지구곡가>에 나타난 구곡 형상과 그 의미
영남학
2022 .03
사대부가 주도하는 사회로서의 조선시대사
역사비평
2021 .05
18세기 후반 지리산 유람의 추이와 성격
南冥學硏究
2015 .01
1930년대 제주도․한라산 기행문 고찰 -여행안내서와의 상호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
2015 .01
조선시대 官人들의 탈속인식과 지리산 遊覽癖
南冥學硏究
2015 .01
李元雨의『九曲散稿』와 堤川
율곡학연구
2021 .12
四名子 車佐一의 遊覽詩 연구? 關西지역 유람시를 중심으로 ?
동양고전연구
2020 .01
임하구곡의 은거문화 : 안동 선비의 정신세계와 구곡강산
안동학
2017 .12
李馨溥의 「華陽九曲圖」에 대한 고찰
온지논총
2018 .01
돈의 유람
시조시학
2016 .03
申翊聖의 金剛山 遊記를 통해 본朝鮮 後期 遊記의 文體的 多變化
한국한문학연구
2020 .01
17세기 이전 금강산 유람의 경로 및 특징
南冥學硏究
2017 .01
구곡의 스토리텔링을 이용한 힐링프로그램 개발방안
퇴계학논집
2018 .01
18세기 조선 사람의 중국여행문화 고찰 - 홍대용의 ≪을병연행록≫을 중심으로-
건지인문학
2015 .01
지리산유람록 연구의 현황과 과제
南冥學硏究
2015 .01
擇里志 다시 읽기― 키워드 ‘士大夫’를 통하여
대동문화연구
2016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