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성형 (공주대학교)
저널정보
대동한문학회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제49권 제49호
발행연도
2016.1
수록면
211 - 247 (3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少痊 金德承(1595~1658)과 市北 南以雄(1575~1648)의 교유는 1645년부터 확인되지만, 月沙 李廷龜(1564~1635) 집안과의 밀접한 교유를 매개로 보다 이른 시기에 교유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같은 西人이고, 관직 이력을 살펴볼 때 1624년을 전후한 시기에도 서로 교유했을 가능성이 농후했다. 당시 해로 연행 노정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市北이 평소 교유가 있었던 少痊의 『天槎大觀』을 필사해서 『路程記』를 제작했다고 추정된다. 두 작자의 문집을 고찰해 보면, 『少痊集』의 草稿가 아들에 의해서 정리된 반면 『市北遺稿』는 5대손에 의해서 정리되어, 『市北遺稿』의 내용에 대해서는 치밀한 고증이 필요하다. 두 연행록의 幷序와 後記를 고찰해보면, 『天槎大觀』은 작자와 저작시기 및 저작 장소, 저작 목적 등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少痊의 저작이 분명하다. 반면, 『路程記』의 평범한 후기를 통해서는 『路程記』가 市北의 저작임을 특정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두 연행록의 相關關係에 대해서는 『天槎大觀』의 小註로 異本의 존재가 확인되는데, 그 내용이 『路程記』에서 확인된다는 점과 개인적인 견문과 소회의 서술이 서로 일치하는 점, 그리고 동일한 오류가 재생산 되는 점을 통해서 『路程記』가 『天槎大觀』의 이본임을 알 수 있다. 두 연행록의 내용구성을 비교해 보면, 우선 상이한 서술로 서로 결락이나 오류를 보완한 부분이 있고, 간략하게 변형되거나 축약된 서술이 확인되며, 諱法의 상이한 적용 양상이 보인다. 이를 통해서 『路程記』는 市北의 저작이지만, 창작본이 아니고 『天槎大觀』의 筆寫本임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내용 구성상의 차이를 살펴보면 『路程記』에서는 『天槎大觀』의 ‘安州牧’에 대한 서술이 누락되었고, 小題에 대한 누락이나 부정확한 사용이 확인된다. 또한 노정과 내용이 혼재되었다. 이를 통해서 초고가 혼재되어 전해졌던 정황과 『市北遺稿』가 간행될 때에 『天槎大觀』을 참고하지 않았음도 알 수 있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22)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