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희 (인제대학교)
저널정보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율곡학연구 율곡학연구 제43권
발행연도
2020.1
수록면
105 - 130 (26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논문은 율곡의 『순언』 저술 동기에 대한 분석을 통해 『순언』 의 군주 수양론이 전개되는 양상을 율곡의 사회개혁에 대한 의지와 연계하는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격몽요결』과 함께 율곡의 말년에 저술된 것으로 추정되는 『순언』에는 현실정치에 참여했던 관료인 동시에 지식인으로서 현실사회의 문제를 진단하고, 이를 타개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새로운 방식으로 모색한 율곡의 사회개혁에 대한 의지가 표명되어 있다. 여느 저술들과 달리『순언』은 당대에 이단으로 분류되었던 노자사상을 기반으로 한다. 또한, 『순언』에 나타나는 군주론은 성리학적 세계관을 넘어서는 보다 넓은 의미의 맥락성을 갖는다. 그리고 이것은 유불도(儒佛道)를 아우르는 사상융화의 회통성을 지향한 율곡의 실리적 학문하기 방식과도 연관된다. 즉, 율곡이 일생동안 추구한 실천적인 학문하기 방식에 비추어 볼 때 현실사회에 기능할 수 있는 학문의 실리성과 실증성은 가치와 이념의 경계성을 넘어서는 내용을 갖는다. 이 점에서 『순언』이 저술된 시기에 이루어진 구봉과 율곡의 서신 교류에는 구봉과 비견되는 현실사회에 대한 율곡의 남다른 인식과 이해를 엿볼 수 있는 사례에 해당한다. 즉, 時宜와 實功이라는 학문의 능동적인 기능과 역할을 강조하는 율곡의 입장에서 볼 때 당대의 지식인 견지하고 있는 명분 중심의 학문관은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기에 부족한 한계를 갖는다. 그러므로 성리학적 세계의 이념성을 중심으로 현실사회의 문제를 이해하는 구봉과 다른 율곡의 견해에는 현실과 괴리된 학문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율곡의 의지가 담겨져 있다. 또한 이것은 새로운 사회의 창출을 위한 변화의 동기를 理氣之妙의 회통정신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율곡의 시대의식을 대변하는 것이기도 하다. 종례에 이루어진 율곡의 『노자』 주해, 즉 『순언』에 대한 접근과 해석은 성리학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진다. 하지만 이것은 율곡의 『순언』 저술이 갖는 동기, 다시 말해 “율곡의 『노자』 주해가 이루어진 정치적 상황과 필요성”에 대한 연구의 목적을 약화시키는 제한성을 낳는다. 또한, 이것은 성리학적 세계관에 경도되지 않는 『순언』에 대한 접근과 해석의 단초를 마련하기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다면 율곡의 『순언』 저술 동기에 대한 연구는 『노자』에 대한 율곡의 개인의 이해를 넘어, 사회적이고 역사적인 의미를 갖는 현실사회에 대한 율곡의 문제의식을 규명하는 작업이 된다. 그리고 이것은 현실사회에 대한 율곡의 새로운 문제의식이 발전하는 과정을 율곡이 강조하는 실리적인 학문하기 방식과 연계하여 고찰하는 과정이 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율곡의 『순언』 저술 동기에 대한 규명은 『순언』을 통해 제시되고 있는 군주론의 내적의미와 구조를 보다 구체화 시키는 일련의 과정이 된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