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요약문
1. 서론
2. 연설가란 누구인가에 대한 고르기아스의 입장(448e-457c)
3. 고르기아스의 입장이 가진 모순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지적(457c-461c)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고르기아스』에서의 소크라테스의 참된 정치술
철학사상
2018 .08
소크라테스, 폴로스, 칼리클레스 그리고 부정의 -『고르기아스』 474c-475c에 대한 하나의 독해 -
철학논집
2024 .05
대(大)디오니시아 제전(祭典)과 아테네 제국주의: ‘분리를 통한 통합’의 장
역사학연구
2018 .11
플라톤 『국가』편의 드라마적 도입부에 대한 한 가지 해석: 당대 민주정의 모순에 대한 처방전을 얻기 위한 예비적 고찰
서양고전학연구
2021 .03
고르기아스의 진리 개념 - ≪헬레네 찬가≫를 중심으로 -
대동철학
2017 .03
아테네 민주정치의 본질과 그 현대적 의미
역사와 세계
2015 .12
뮈틸레네 논전에 나타난 아테네 민주정과 제국주의 : 클레온의 연설을 중심으로
인간·환경·미래
2019 .04
아테네의 위기와 페리클레스의 연설 : 두 개의 의회 연설을 중심으로
한국수사학회 학술대회
2015 .05
칼리클레스의 쾌락주의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논박 - 플라톤 『고르기아스』491d-499b에 대한 연구 -
철학논집
2022 .05
에우리피데스의 『탄원하는 여인들』과 아테네 민주정: 아드라스토스와 페리클레스의 장례연설 비교를 중심으로
인간·환경·미래
2020 .04
아테네 공공기념물을 통해 본 마라톤 전투에 대한 기억의 생성과 재생산
史叢(사총)
2016 .01
플라톤 고르기아스 편과 전투 혹은 축제: “소크라테스적 대화”에 대한 세 가지 이해
대동철학
2022 .03
Comparative Organic Reading in the Responsive Rhetoric of Plato’s Gorgias, Aristotle’s Rhetoric, and Augustine’s On Christian Doctrine
동서비교문학저널
2022 .06
연설의 종류와 텍스트 종류
수사학
2016 .12
Saving Callicles in the Gorgias – An Argument from Plato’s Later Dialogues -
철학논총
2022 .10
페이토(Πειθώ)와 에로스(Ἔρως) -고대 아테네 민주정에서의 언어와 권력-
서양사론
2023 .06
수사학이 유용한 이유들에 대한 검토 : 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 1355a20-1355b7을 중심으로
수사학
2019 .04
아프로디테 판데모스 숭배와 아테네 민주정
서양고전학연구
2020 .03
아이아스, 오뒷세우스, 그리고 소크라테스 ― 안티스테네스의 시범 연설 연구
대동철학
2015 .01
고전기 아테네 여성의 연극관람과 사회적 친교활동에 관한 담론
서양고전학연구
2015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