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요약
Ⅰ. 들어가며
Ⅱ. 신화적 배경과 아테네 장례연설epitaphios logos
Ⅲ. 페리클레스의 장례연설
Ⅳ. 아드라스토스의 장례연설
Ⅴ. 아드라스토스 연설의 이해
Ⅵ. 비탄과 애도
Ⅶ. 장례 의식의 극화dramatization로서의 『탄원하는 여인들』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장례지도사의 사회적 위치: 전북지역 장례식장 근무자를 중심으로
구술사연구
2021 .01
아테네의 위기와 페리클레스의 연설 : 두 개의 의회 연설을 중심으로
한국수사학회 학술대회
2015 .05
대(大)디오니시아 제전(祭典)과 아테네 제국주의: ‘분리를 통한 통합’의 장
역사학연구
2018 .11
장례 세일
자음과모음
2023 .09
뮈틸레네 논전에 나타난 아테네 민주정과 제국주의 : 클레온의 연설을 중심으로
인간·환경·미래
2019 .04
[공영장례] 삶을 존엄하게 마무리할 권리 : 무연고 사망자의 장례
월간 옥이네
2025 .02
페리클레스 추도연설과 스파르타: 체제와 삶의 방식을 둘러싼 경쟁
서양사연구
2022 .11
장례의례를 통해 본 한국인의 죽음이해: 바람직한 애도와 위로의 실천을 위해
대학과 선교
2022 .09
원불교 장례문화의 방향성 고찰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9 .09
아테네 공공기념물을 통해 본 마라톤 전투에 대한 기억의 생성과 재생산
史叢(사총)
2016 .01
소크라테스가 고르기아스를 만났을 때: 플라톤 『고르기아스』 448e-461b에 대한 한 가지 해석
서양고전학연구
2021 .09
사진과 회고로 보는 1900년대 전반기 북간도 한인의 장례문화
민속학연구
2018 .06
에우리피데스 『히폴리토스』의 역사적 배경 탐구
서양고전학연구
2015 .03
성공적인 연설에 대하여
중국조선어문
2015 .05
한국 상장례의 변화와 친환경적 장묘산업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9 .03
러시아인과 투르크계 민족들의 전통장례 비교 연구
러시아학
2020 .01
순종 사망과 장례과정 - 1926년 4월부터 6·10만세운동까지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24 .08
근대 동아시아 해역 해외·식민지 일본인 사회와 일본불교의 장제(葬祭) : -근대 일본 제국의 식민지 형성과정과 일본불교의 사회적 역할-
일어일문학
2023 .11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소장의 鄭百朋 誌石 연구
문물연구
2021 .11
出喪 前夜 喪家에서 행해지는 葬禮놀이
문물연구
2017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