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10%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백제의 인구와 병력
Ⅲ. 백제의 남방 영역 확장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양서』 고구려전의 원전(原典)과 편찬 방식
동북아역사논총
2020 .06
『三國史記』의 전쟁 표현과 정당성 인식의 차이
역사와 담론
2018 .10
삼국사기 각국 본기의 원전을 찾기 위한 각고의 노력 : 전덕재, 『三國史記 본기의 원전과 편찬』 (주류성출판사, 2018)
역사와 세계
2018 .12
『三國史記』의 도성 관련 용어 분석
한국사학보
2021 .02
호남지역 중국제 도자의 등장과 전개
호남고고학보
2022 .10
『양직공도梁職貢圖』·『양서梁書』의 신라 국호 이칭異稱에 대한 검토
국학연구
2017 .03
聖王의 마한 통합과 國號 변경에 관한 고찰
역사학연구
2024 .05
『삼국사기』직관지 관등규정의 유형과 정비과정
한국사학보
2016 .05
고대 중국의 異域담론의 시각적 재현 ― <萬國職貢圖>에 나타난 이역상상
중국어문학지
2021 .01
『晉書』에 보이는 馬韓의 대외 교류와 百濟의 성장
백제학보
2017 .01
문헌 속 호남 지역의 마한과 백제
호남고고학보
2022 .10
『皇淸職貢圖』의 ‘大一統’ 세계
韓國史學史學報
2018 .01
백제 지명 ‘두잉지(豆仍只)’의 어의와 어형
한국학연구
2015 .09
己汶·帶沙의 위치와 그 위상
전북사학
2020 .01
南朝 梁代 ‘海南諸國’과의 교류와 외교 – 林邑과 扶南을 중심으로
중국사연구
2023 .02
백제불교의 일본 전래시기에 대한 일고찰
일본문화학보
2024 .11
신라의 船府(署) 정비와 백촌강 전투
대구사학
2022 .02
문헌으로 본 충북지역의 마한에서 백제로의 이행 과정 시론
백제학보
2019 .01
문헌 기록으로 본 마한의 대외교류와 익산
마한백제문화
2023 .06
호남지역 유적조사 성과를 통해 본 마한·백제- 2016년을 중심으로 -
백제학보
2017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