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머리말
Ⅱ. 『양서』 고구려전의 원전과 인용
Ⅲ. 『양서』 고구려전의 편찬 방식과 저술 의도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4~5세기 백제의 인구와 남방영역
한국고대사연구
2021 .06
고대 중국의 異域담론의 시각적 재현 ― <萬國職貢圖>에 나타난 이역상상
중국어문학지
2021 .01
南朝 梁代 ‘海南諸國’과의 교류와 외교 – 林邑과 扶南을 중심으로
중국사연구
2023 .02
中國 歷代 職貢圖의 韓人圖像과 그 인식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2015 .01
『皇淸職貢圖』의 ‘大一統’ 세계
韓國史學史學報
2018 .01
전통시기 露梁의 장소성과 용산의 성장
[TCHCCOS] 서울과 역사
2021 .10
伴跛國 位置에 대한 論議
역사와 담론
2019 .04
18세기 ?代에 제작된 民族誌 『皇?職貢圖』에 관한 試論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2017 .06
基於CiteSpace视角对现代汉语反义複合词研究現狀的可視化知識圖譜分析 ― 以1978-2021年为中心
중국어문학논집
2022 .04
고대 탐라 명칭의 재검토
한국사학보
2022 .11
외국 高句麗 인물화에 나타난 닭깃털관(鷄羽冠)과 高句麗의 위상
고구려발해연구
2015 .03
건국초기(1949~50) 北京 ‘행정중심구’ 논쟁과 ‘梁陳方案’
중국근현대사연구
2017 .09
조선 典書로서의 『경국대전』 성격과 그 의미
한국사연구
2020 .06
<서경(書經)>의 이미지화 고찰
온지논총
2015 .01
신 자료 <양섬전(梁蟾傳)>의 서사 특징과 그 의미-<두껍전>과의 관련 양상을 중심으로-
고소설연구
2022 .06
束草 普光寺 佛像 腹藏 典籍 : 『諸佛如來菩薩名稱歌曲』을 中心으로
문화사학
2017 .06
『동국세시기』 번역과 주석의 문제-정월 풍속을 중심으로-
민족문화
2020 .06
사명당 유정의 忠義가 지닌 불교적 의미
역사민속학
2020 .06
比字句中比较结果对认识情态助动词“要”位置的影响
중국학논총
2023 .03
조선 후기 ‘眞人出現說’의 형성과 그 향방
역사와경계
2019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