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요약
1. 문화 침탈과 교과서
2. 검정과 차별주의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3. 검열과 정치·문화적 통합 ; 『증정 보통학교학도용 조선어독본』
4. 검정과 검열의 흔적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일제강점기 제1차 간이학교 국어독본의 어휘 고찰 - 제3기 『보통학교 국어독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21 .04
제1차 조선교육령기 『보통학교국어독본』과 일본의 『심상소학독본』과의 유사도 고찰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9 .04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과 『유년필독』 비교 연구
동화와 번역
2015 .01
한국 근대시기 독본류 교재로 바라본 한문고전교육의 의미-일제시대 총독부 출간 『中等敎育 朝鮮語及漢文讀本』을 중심으로-
한국한문학연구
2022 .04
『보통학교 조선어사전』의 계량적 분석 연구
한국사전학
2021 .11
근대 국어 교과서와 민간 독본의 탄생― 『初等小學』(1906)을 중심으로 ―
현대문학이론연구
2015 .01
統監府 發行 “普通學校 漢文讀本”의 성격과 배경 - 계몽기 한국 독본과의 비교연구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2016 .01
『조선어독본』수록 제재를 통해 본 일제강점기 초등교육의 의의 - 피식민 주체의 정체성 수립과정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2022 .02
4년제 보통학교를 통한 일제의 동화와 차별교육 : 조선총독부 편찬 4년제 보통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6 .04
최남선 편 『시문독본』의 번역 대본 연구 : 「이상」 ·「지기난」 ·「세계의 사성」 ·「사와 영생」
일본문화연구
2015 .07
개화기 `독본`과 근대 서사(2) :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을 중심으로
돈암어문학
2017 .06
근대 문학독본류의 미의식과 이데올로기 연구
어문론집
2018 .03
근대 전환기 국어(조선어) 독본(讀本)과 근대적 문학 교육의 형성
문학교육학
2015 .01
독본 개념의 형성과 근대 이후 독본의 유형
어문학
2022 .03
일제 강점기 교과서에 나타난 서사 연구 : 『普通學校 國語讀本』(1912~1915)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2016 .03
“심의린 『보통학교 조선어사전』의 계량적 분석 연구”에 대한 토론문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1 .08
일제강점기 조선어독본과 아동문화 교육 ― 삽화와 교육적 의도를 중심으로
동화와 번역
2020 .01
문예독본과 한글 문장의 정리와 보급 -정열모의 『현대조선문예독본』(1929)
현대소설연구
2022 .06
조 헤버 존스(Goe. Haber Jones, 조원시) 『국문독본』의 내용과 텍스트 출처 연구
인문과학연구
2015 .12
Japanese Language Textbooks used in Korea and Japan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 Using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Kokugotokuhon and Shougakutokuhon
인문사회과학연구
2017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