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역사 쓰기로서 파운드푸티지 영화
2. 기이함(The Uncanny)
3. 비인종적 몽타주와 인종적 파열
4. 사마 와르나, 사마 방사(Sama warna, sama bangsa)
5. 아카이브, 카탈로깅, 역사쓰기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타자의 아카이브로부터 돌아온 포로들 - 미 육군 통신부대 POW 필름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의 연구
2021 .01
문학과 영화의 상호매체적 관점에서 본 영화의 확장성과 한계성 고찰
유럽사회문화
2015 .12
러시아와 중국의 영화정책 상관성 연구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2017 .01
중국과 러시아 영화사를 통해본 영화정책 변모양상 : 1896~1950년대까지를 중심으로
슬라브학보
2017 .03
Efforts by the Republic of China Government to Convert Chinese Communist Prisoners of War during the Korean War
Korea Journal
2020 .06
일본 영화소설의 전개 양상 - 191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
일어일문학연구
2016 .08
한국전쟁기 공산군의 유엔군 포로 관리와 성격
군사연구
2019 .01
중국영화 비평을 위한 좌표들 ― 영화산업 환경의 변화를 중심으로
중국어문학지
2021 .01
해방 이후 뉴스-문화영화 제작사 연구 ― 민간 영화사를 중심으로 ―
사림
2015 .01
Enlightening the Other : Colonial Korean Cinema and the Question of Audience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15 .06
The Identity of “Joseon Film”: Between Colonial Cinema and National Cinema
Korea Journal
2019 .12
카메라의 言語 - 몽타주작업을 위한 몇 에피소드
어문연구(語文硏究)
2019 .01
한국전쟁 포로협상과 중국군 포로의 선택
사학연구
2016 .09
춤추는 전쟁 포로: 2010 년대 중립 서사의 한국 전쟁 사유방식 —최수철의 「거제, 포로들의 춤」과 영화 <스윙키즈>를 중심으로
비교문학
2022 .10
Literature on the Silver Screen: Towards a Collaborative Success
영상영어교육(STEM Journal)
2019 .01
불화와 화해의 영화적 변주곡 ― 한국 영화 「곡성」, 「밀양」, 「만신」을 중심으로
국학연구
2020 .03
한·중 합작영화의 성과와 한계
동아인문학
2022 .12
한국전쟁기 포로노래의 역할: 포로 통제수단으로서의 금지곡
민족문화연구
2023 .02
공공역사로서의 역사영화와 개연성으로서의 역사
역사비평
2022 .05
베트남전쟁 시기 한국군의 선전영화 상영과 문화냉전의 귀결
민족문화연구
2023 .0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