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서론
Ⅱ. 수용기 : 1896-1910년대 중국과 러시아의 영화정책
Ⅲ. 실험기 : 1920년대 중국과 러시아의 영화정책
Ⅳ. 형성기 : 1930-1940년대 중국과 러시아의 영화정책
Ⅴ. 침체기 : 1950년대 중국과 러시아의 영화정책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러시아와 중국의 영화정책 상관성 연구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2017 .01
중국영화 비평을 위한 좌표들 ― 영화산업 환경의 변화를 중심으로
중국어문학지
2021 .01
한·중 합작영화의 성과와 한계
동아인문학
2022 .12
문학과 영화의 상호매체적 관점에서 본 영화의 확장성과 한계성 고찰
유럽사회문화
2015 .12
해방 이후 뉴스-문화영화 제작사 연구 ― 민간 영화사를 중심으로 ―
사림
2015 .01
공공역사로서의 역사영화와 개연성으로서의 역사
역사비평
2022 .05
일본 영화소설의 전개 양상 - 191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
일어일문학연구
2016 .08
사회주의 중국의 문예정책과 영화비평의 정치학
중국문화연구
2020 .05
불화와 화해의 영화적 변주곡 ― 한국 영화 「곡성」, 「밀양」, 「만신」을 중심으로
국학연구
2020 .03
[On This Topic] A Century of Korean Film: From “Joseon Film” to Global Korean Cinema
Korea Journal
2019 .12
Literature on the Silver Screen: Towards a Collaborative Success
영상영어교육(STEM Journal)
2019 .01
영화의 재현적 기능과 의미 형성 사이의 딜레마 - 아도르노의 「영화투명성」을 중심으로 -
철학사상
2022 .11
The Identity of “Joseon Film”: Between Colonial Cinema and National Cinema
Korea Journal
2019 .12
1960년대 문화영화 정책과 그 방향
역사연구
2020 .05
중국영화시장 발전과 21세기 영화시장 변화에 대한 역사적 고찰 -국내, 중화권, 글로벌 영화시장을 중심으로-
중국학논총
2022 .03
한국의 다문화 영화 : 장르적 접근
인문콘텐츠
2015 .03
중국과 러시아의 전면적·전략적 협력: 동인과 현황 그리고 전망
외국학연구
2020 .01
국책영화의 정치학 - 태평양전쟁기 성숙의 프로세스 속 보이스오버를 중심으로 -
일본어문학
2019 .01
从探索到转型:论中国第五代导演的电影观念
중국어문학
2015 .01
해방기 한국영화의 기술 여건과 입지 변화의 양상 연구
석당논총
202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