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머리말
Ⅱ. 旗人의 귀농과 計口受田 모색
Ⅲ. 旗地의 淸丈과 升科
Ⅳ. 旗地의 매각과 財源 창출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額赫里의 檔案으로 보는 청·러 국경분쟁 초기 漢軍八旗軍 상황과 조선을 통한 문제 해결
동아인문학
2018 .09
청대 길림의 팔기 관병과 호랑이 진공
史叢(사총)
2021 .01
러시아의 남하와 만주 주방의 변화, 1900-1911 - 琿春 駐防의 사례 -
역사와 세계
2022 .06
서울 개운사 왕실발원 석가괘불도 연구
강좌 미술사
2019 .01
중국의 도시화와 공공토지 사유화
역사비평
2016 .08
遼人에서 旗人으로 - 淸代의 漢軍旗人 李永芳 일족의 사례를 중심으로 -
역사와 세계
2024 .06
18세기 후반 훈춘 협령의 지역관리와 인삼행정
史叢(사총)
2018 .01
대한제국기 김가진의 충주지역 토지 소유와 의의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17 .05
전통, 제국과 금본위제—T. S. 엘리엇의 로이즈 은행 근무
T. S. 엘리엇연구
2023 .01
소용돌이 속에서 만난 엘리엇과 포우
T. S. 엘리엇연구
2024 .01
琿春 旗地의 소유와 운영, 1879-1931
동방학지
2018 .01
滿洲族의 孤城 琿春, 1911-1931 : 琿春 滿洲族 엘리트의 鄕村支配의 지속과 변화
동양사학연구
2015 .09
한 · 일 뱃기 장식 비교 연구
민속연구
2017 .08
조선 후기 무위(武威)의 상징 대기치(大旗幟) 고증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21 .12
For Whom the Line is Drawn: Korean Indigenous Conceptions of Boundary in the 19th Century and Changes in the Colonial Period
Korea Journal
2020 .12
被占領地 土地改革에 관한 硏究― 報恩郡 懷南面 事例
대동문화연구
2019 .01
한말 명례궁장토의 운영과 국가의 소유권 정리 : 충청남도 아산군 이서면 우평 명례궁장토를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
2015 .05
서울 봉은사 왕실발원 석가괘불도 연구
강좌 미술사
2020 .01
일제하 토지 투자 열풍 - 일본인 지주·자본가의 한국 토지 매입 전략과 수익
역사비평
2022 .05
Ecliptic Revolution of the ‘Un-landed’ and ‘Landed’ in Shakespeare’s King Lear
영어영문학
2021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