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들어가며
2. 개혁기 전후 중국의 토지개혁
3. 농지수용 및 출양에 기초한 도시화 전략의 한계
4. 도시화에 따른 공공토지 사유화 경향들
5. 실질적 공공토지 사유화를 막기 위한 정책 노력
6. 결론: 중국의 토지개혁 경험이 주는 교훈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전통, 제국과 금본위제—T. S. 엘리엇의 로이즈 은행 근무
T. S. 엘리엇연구
2023 .01
소용돌이 속에서 만난 엘리엇과 포우
T. S. 엘리엇연구
2024 .01
For Whom the Line is Drawn: Korean Indigenous Conceptions of Boundary in the 19th Century and Changes in the Colonial Period
Korea Journal
2020 .12
量田史의 재검토― 벽사 이우성의 사적 토지소유론과 관련해서
대동문화연구
2023 .03
대한제국기 김가진의 충주지역 토지 소유와 의의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17 .05
Ecliptic Revolution of the ‘Un-landed’ and ‘Landed’ in Shakespeare’s King Lear
영어영문학
2021 .08
한말 명례궁장토의 운영과 국가의 소유권 정리 : 충청남도 아산군 이서면 우평 명례궁장토를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
2015 .05
갑오정권의 농업정책
이화사학연구
2016 .01
일제하 토지 투자 열풍 - 일본인 지주·자본가의 한국 토지 매입 전략과 수익
역사비평
2022 .05
일심삼관을 통한 원묘요세의 정토사상 고찰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21 .03
신명기의 ‘젖과 꿀이 흐르는 땅’
구약논단
2015 .03
被占領地 土地改革에 관한 硏究― 報恩郡 懷南面 事例
대동문화연구
2019 .01
조선후기 새로운 국가구상의 전통과『경세유표(經世遺表)』 − 『반계수록(磻溪隨錄)』 이래 남인(南人)의 전제론(田制論)과 결부하여 −
동방학지
2017 .01
러일전쟁 직후 일본인 지주의 한국 진출 ―『군산농사월보』의 검토를 중심으로 ―
사림
2015 .01
욥기에 나타난 토지 독점에 따른 경제 정의의 공공성 파괴 원인 연구 - 욥기 24:1-12을 중심으로 -
구약논단
2020 .03
Metaphysical Motives in Eliot’s Early Poetry
T. S. 엘리엇연구
2021 .01
初受田者 男夫에 대한 再檢討
중국사연구
2016 .01
한말 일제초기 官契와 地券의 성격 검토
역사와 세계
2018 .12
청말(1907∼1911) 길림성의 旗地 정돈과 旗人 생계의 도모
동양사학연구
2020 .09
Land, from Driver of Growth to Source of Inequality
Journal of Contemporary Korean Studies
2016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