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러시아의 남하와 만주 주방의 변화, 1900-1911 - 琿春 駐防의 사례 -
역사와 세계
2022 .06
청대 길림의 팔기 관병과 호랑이 진공
史叢(사총)
2021 .01
청대 길림의 재배삼과 자연환경
동국사학
2022 .04
만주족과 인삼, 인삼설화
동아인문학
2019 .12
17~18세기 전반 인삼무역의 변동과 개성상인의 활동
탐라문화
2017 .06
17-18세기 영미권의 인삼(Ginseng) 인식
의사학
2016 .08
19세기 영국신문에 나타난 인삼(ginseng)
영국 연구
2015 .01
서양의학에서의 인삼활용과 한계, 1660-1900 :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의사학
2017 .12
청말(1907∼1911) 길림성의 旗地 정돈과 旗人 생계의 도모
동양사학연구
2020 .09
대한제국 시기 인삼업의 변화와 특징 -개성 지역 이외의 인삼 재배지를 중심으로-
학림
2021 .09
琿春 滿洲族의 沒落, 1931~1949 - 朝鮮族의 興起를 兼論 -
역사와 세계
2019 .12
17세기 후반 조선의 禁蔘 정책과 대일 인삼 무역
史叢(사총)
2024 .01
滿洲族의 孤城 琿春, 1911-1931 : 琿春 滿洲族 엘리트의 鄕村支配의 지속과 변화
동양사학연구
2015 .09
琿春事件과 중국정부의 대응
인문학연구
2023 .03
개항 후 조선의 포삼정책과 홍삼의 어용화(1876~1894)
한국사연구
2021 .09
1930년대 백삼 통제의 전개와 개성상인 간 갈등 연구
역사연구
2019 .12
Hunchun, the Qing-Chosŏn Borderland in the Eighteenth Century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016 .02
中華民國 國民과 滿洲族 사이 : 琿春 滿洲族의 二重的 正體性, 1911~1931
역사학보
2017 .06
琿春 旗地의 소유와 운영, 1879-1931
동방학지
201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