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I. 서언
II. 현황
III. 금석문 판독에 적용되는 조사 방법
IV. 3차원 모델링 및 디지털기록화
V. 비문 디지털 가시화
VI. 비문 디지털 형상분석
VII. 고찰 및 결언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충주고구려비(忠州高句麗碑) 디지털 판독의 성과와 고찰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21 .01
충주 고구려비 공동 판독안 (동북아역사재단, 한국고대사학회)
한국고대사연구
2020 .06
충주 고구려비 발견 40주년 연구의 성과와 의의
고구려발해연구
2024 .11
최신 과학적 조사를 통한 충주고구려비 연구
동북아역사포커스
2022 .12
충주고구려비의 발견과 논점
동북아역사포커스
2022 .12
광개토왕릉비 제1~2면의 비면 현황과 비문 판독
고구려발해연구
2023 .03
충주 고구려비의 판독문 재검토 -題額과 干支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연구
2020 .06
광개토왕비문의 新判讀과 해석
고구려발해연구
2020 .11
집안고구려비의 발견과 논점
동북아역사포커스
2022 .12
충주고구려비를 통해 본 5세기 중반 고구려와 신라와의 관계
고구려발해연구
2019 .11
5세기 중엽 고구려의 신라방면 영향력 확대와 충주고구려비
고구려발해연구
2025 .03
디지털 가시화 기술을 활용한 부여 석조 명문 재검토 기초연구
목간과문자
2023 .06
忠州 高句麗碑 ‘忌’·‘共’의 재해석
한국사학보
2020 .08
충주 지역 중원역사문화 스토리텔링의 기초자료
스토리앤이미지텔링
2016 .06
집안 지역 출토 고구려 권운문 와당 명문의 판독과 유형
고구려발해연구
2016 .11
[연구노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본관 10488-6호〉 묘지 판독
사학연구
2018 .12
충주고구려비의 高麗 大王과 東夷 寐錦
한국고대사연구
2020 .06
광개토왕비의 형태와 위치, 비문 구성과 성격에 관한 연구 성과와 과제
동북아역사논총
2015 .09
다섯 글자
수필미학
2019 .12
충주고구려비의 단락구성과 건립시기
한국고대사연구
2020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