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머리말
1. 전기 평양 도성의 경관과 대왕전제체제
2. 후기 평양 도성[장안성]의 경관과 국가적 지향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발해 5경 명칭 출현 시기에 관한 사료적 검토
고구려발해연구
2016 .07
낙경(落京)
문학들
2023 .11
故 조가경(曺街京) 교수님을 기억하며
철학과 현실
2022 .03
조선 · 청 외교문서의 교섭경로와 성경의 역할
역사와현실
2018 .03
도성 관련 용어 검토 — ‘都’ㆍ‘郭’ㆍ‘京’을 중심으로 —
사림
2017 .01
淸初 三藩의 亂과 盛京 지역 주변정세의 변화
이화사학연구
2020 .01
대동법 시행기 進上制의 정비와 영조대 초반 『進上別單謄錄』의 작성
한국사학보
2022 .02
조선후기 行商 조직의 座目과 인원 변동 - 禮德沔唐과 京都所 · 京都廳의 사례 -
장서각
2020 .10
고려사회의 심연으로 들어가는 창, 개경 : 정은정, 『고려 開京 · 京畿 연구』 (혜안, 2018)
한국민족문화
2019 .02
日本 京都 出土 高麗 · 朝鮮陶瓷의 現況과 性格
문화사학
2019 .06
『京都雜誌』「風俗」편 번역의 오류 문제
민족문화
2015 .12
근대 일본의 화엄사상과 국가
한국불교학
2016 .01
출토자료로 본 商 遺民의 해체와 재편 - 서주 핵심지역을 중심으로 -
중국고중세사연구
2020 .02
頤齋 黃胤錫의 科場 出入 풍경
역사와경계
2015 .12
西行 시절 頤齋 黃胤錫의 交遊 원칙 -京華士族을 중심으로-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2021 .09
「『高麗圖經』 譯註」(5) : 권3 「城邑」편의 「坊市」 ~ 「郡邑」과 권4 「門闕」편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학보
2017 .11
『西京詩話』의 구성 체제와 문헌적 특성
고전과 해석
2020 .01
고려 예종대 西京 龍堰宮 경영과 역사계승의식
사림
2021 .01
경고하는 언론 — 러일전쟁과 중국 저널의 보도 —
사림
2024 .01
『고려사(高麗史)』「악지(樂志)」속악(俗樂) 편집의 특징과 정치성
국문학연구
2017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