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5%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요약문
Ⅰ. 들어가는 말: 고린도전서 15장의 구조분석
Ⅱ. “죽은 자의 부활은 없다”(ἀνάστασις νεκρῶν οὐκ ἔστιν)고 주장하는 사람들
Ⅲ. 바울의 답변의 토대: 물러 받은 초대교회의 신앙고백과 바울의 고린도 선포(15:1-11)
Ⅳ. 죽은 자의 부활을 믿지 못하는 “헛된 믿음”의 결과(12-19절)
Ⅴ. 그리스도의 부활과 죽은 자들의 부활(20-23절)
Ⅵ.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여자제자, 막달라 마리아는 예수 부활의 첫 증인이었다 : 요 20:1-18에 나타난 선교적 함의
신학과세계
2018 .12
고린도전서와 바울의 십자가 교회론
신학과세계
2019 .09
디지털 매체와 이동의 시대, 정체성의 문제와 환상성의 부활 - 다니엘 켈만의 <명성>과 스티븐 울리의 <아담의 푸가>를 중심으로
독일어문학
2015 .01
부활, 그 이후를 산다는 것(막 16:6~7)
제3시대
2019 .05
바울이 말하는 고린도교회 여성들 : 고린도전서 14:34-35 해석
신약논단
2015 .09
전후 독일의 시대적 과제에 대한 슐링크의 인식 - <책 읽어주는 남자>, <주말>, <귀향>을 중심으로
유럽사회문화
2019 .01
바울과 바울전승의 가정(家庭) 이해
신학과세계
2018 .09
신약성서의 교회 이해- 세월호 참사 이후 생명력 있는 교회를 위한 성찰
신학사상
2015 .01
바흐만의 초기 문학에 나타나는 문화산업 비판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2015 .01
문학에 나타난 권력관계의 연구를 위한 이론적 고찰 혹은 확장된 담론분석
독어독문학(구 독일문학)
2021 .12
그리스도인들에게 “모세의 율법”은 어떤 의미가 있는가?: 바울의 율법이해를 보는 하나의 시각
신학과세계
2019 .03
21세기 새로운 예술미학으로서의 메타모더니즘 : 워쇼스키 형제의 영화 『매트릭스』시리즈를 중심으로
카프카연구
2017 .06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인간 커뮤니케이션 이론 -‘ 잃어버린 몸’이 갖는 함의에 대하여
독어학
2018 .01
계몽주의 시대 통합적 인간학의 사유방법론 연구
괴테연구
2015 .01
현대의 야만성에 나타난 신화와 계몽의 유희- 이성 중심 사회에 대한 문학적 성찰
독일어문학
2015 .01
[일반] 죽은 자의 부활과 예수의 부활
성서마당
2025 .03
바울의 칭의와 중생: 로마서를 중심으로
신약연구
2016 .06
시적 사색을 통한 칸트의 ‘시간(tempus)’ 개념 고찰 : 칸트의 1770년 「교수취임논문」을 중심으로
철학논총
2017 .07
독일작가 한스 마그누스 엔첸스베르거의 작품 <온순한 괴물 브뤼셀혹은 유럽의 금치산>에 나타난 유로존의 실체 및 위기에 대한 비판연구
독일어문학
2015 .01
파울 첼란의 시적 앙가주망 – 베트남 전쟁, 68 운동, 예루살렘
독어독문학(구 독일문학)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