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요약문
요한복음 20장 (개역 개정)
I. 왜 요한복음 20장 1-18인가?
II. 다르게 성경읽기: 여성적 성경읽기
III. 막달라 마리아, 예수의 부활을 처음 맞이한신실한 제자
IV. 막달라 마리아는 자기를 드러내기보다는 하나님의 영광이 드러나도록 철저하게 섬기는 제자도를모범적으로 수행하였다
V. 막달라 마리아는 영성에 민감한 여자제자였다
VI. 예수는 막달라 마리아를 핵심적인 제자로 세웠다. 그러나…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바흐만의 초기 문학에 나타나는 문화산업 비판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2015 .01
고린도전서 15장에 나타난 죽은 자의 부활에 관한 바울의 가르침
신학과세계
2020 .06
마르다와 마리아, 공간의 분리 담을 넘다 - 누가복음 10:38-42의 새 해석
신약논단
2022 .12
생태페미니즘적 관점으로 본 괴테의 『친화력』
유럽사회문화
2018 .06
마태내러티브의 시간이해
신학과 선교
2015 .01
21세기 새로운 예술미학으로서의 메타모더니즘 : 워쇼스키 형제의 영화 『매트릭스』시리즈를 중심으로
카프카연구
2017 .06
디지털 매체와 이동의 시대, 정체성의 문제와 환상성의 부활 - 다니엘 켈만의 <명성>과 스티븐 울리의 <아담의 푸가>를 중심으로
독일어문학
2015 .01
현대의 야만성에 나타난 신화와 계몽의 유희- 이성 중심 사회에 대한 문학적 성찰
독일어문학
2015 .01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인간 커뮤니케이션 이론 -‘ 잃어버린 몸’이 갖는 함의에 대하여
독어학
2018 .01
문학에 나타난 권력관계의 연구를 위한 이론적 고찰 혹은 확장된 담론분석
독어독문학(구 독일문학)
2021 .12
계몽주의 시대 통합적 인간학의 사유방법론 연구
괴테연구
2015 .01
시적 사색을 통한 칸트의 ‘시간(tempus)’ 개념 고찰 : 칸트의 1770년 「교수취임논문」을 중심으로
철학논총
2017 .07
전후 독일의 시대적 과제에 대한 슐링크의 인식 - <책 읽어주는 남자>, <주말>, <귀향>을 중심으로
유럽사회문화
2019 .01
고전주의적 재현언어의 분산에서 예술의 “현실준수/이탈” 코딩언어의 형성 - 루만과 푸코의 시각으로 본 에.테.아. 호프만의 소설 『모래남자』
독일언어문학
2016 .12
19세기 독일문학에서의 가족과 사회의 긴장관계- 클라이스트의 『O 후작부인』과 폰타네의 『에피 브리스트』를 중심으로
독일어문학
2017 .01
폭력과 타자의 윤리학 - 브링크만의 『고지라』와 슐링크의 『책 읽어주는 남자』를 중심으로
독일어문화권연구
2015 .01
사회구조변동과 명예의 의미론 - 『빌헬름 마이스터』 소설들에 나타난 결투 모티브를 중심으로
괴테연구
2015 .01
선입견과 편견: 유교문화의 철학적 해석학 I.
현대유럽철학연구
2019 .01
18세기 후반 독일 출신의 러시아 여제 카타리나 2세가 독일과 러시아의 관계에 있어 발휘한 역할과 영향
독일어문학
2017 .01
프로이트의 메타심리학적 시도와 정신기관
독어독문학(구 독일문학)
2016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