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머리말
2. 신라 동궁 창조와 왕궁 확장
3. 백제 건축기법의 승계
4. 일상용기 통합과 고구려·백제 조리기 수용
5. 맺음말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신라는 삼국을 통일하려고 하였을까
역사비평
2019 .08
삼국통일 전후 신라 도성의 공간 구조 변화
역사비평
2019 .08
6~7세기 신라의 전략ㆍ전술 입안과 활용
한국사연구
2015 .06
상처받은 신라 : 이종욱, ≪상처받은 신라-그 안에 한국인 정체성의 원점이 있다≫,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6
신라사학보
2018 .12
나제동맹기 신라의 영역확장과 대백제관계
신라사학보
2024 .08
554년 管山城 전투의 배경과 전개
한국고대사연구
2022 .09
중고기 新羅帶冠의 쇠퇴양상과 신라정치
신라사학보
2023 .12
4~7세기 백제의 경계와 그 변화 -경기와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백제문화
2018 .01
羅唐同盟의 始末
대구사학
2017 .01
신라삼국통일론 논의의 연구사적 검토
신라사학보
2018 .08
불교미술 분포를 통해 본 신라문화권의 북방한계
신라사학보
2019 .08
동아시아에서 신라 삼국통일의 의미
동국사학
2022 .08
신라·백제의 문화적 특성과 융합
신라사학보
2018 .04
북한의 신라 고고학 연구 현황과 특징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20 .01
최치원의 사행과 재입당 시점 재고 - 「旅遊唐城贈先王樂官」의 분석을 중심으로-
사학연구
2021 .09
670년대 신라와 당의 대립과 소통 - 薛仁貴⋅文武王書狀의 분석을 중심으로 -
영남학
2023 .06
660년대 고구려의 대남방 전략
대구사학
2018 .01
640년대 전반 ‘麗濟連和’의 실상과 唐의 백제 인식
사학연구
2021 .03
신라 진흥왕대 紫宮의 조영 추진과 중단
신라사학보
2023 .12
문헌과 고고 자료로 그려낸 신라 왕경 - 이동주, 『신라 왕경 형성과정 연구』(경인문화사, 2019) -
대구사학
202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