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
1. 머리말
2. 권근의 도교 인식
3. 권근의 청사와 조선초의 도교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변계량의 사상과 도교 인식
국학연구
2021 .11
도교 의례와 법술
도교문화연구
2023 .05
韓國 道敎史의 靑詞에 나타난 絶對者 認識
도교문화연구
2020 .11
새로운 도학으로서 한국의 도가
한국철학논집
2024 .02
강증산 전승에 나타난 도교사상 수용과 재전유
동아시아고대학
2024 .09
위대한 ≪중국, 중국인≫: 린위탕 스타일 -상호보완으로서의 유교와 도교-
중국어문학
2017 .01
도교중국화의 역사적 함의와 실제 ― 「中国道教协会章程」과 「道教五年工作规划纲要(2019-2023)」를 중심으로
중국학
2020 .01
도교 계율과 도교 규장제도의 상관관계 연구
중국학
2021 .01
고구려 도교의 종교철학적 기반과정치적 수용 맥락의 이중주
동아시아불교문화
2024 .08
조선 도교 인물전에 나타난 세속 단절의 양상과 의미
韓國古典硏究
2021 .01
高麗齋醮研究
도교문화연구
2017 .05
『사람의 아들』의 노장(老莊)적 독해
어문론총
2018 .09
도교와 윤리의 습합 : 『임화정연』에 나타난 도교의 새로운 형상화
한국학논집
2020 .09
도교에서 기와 몸 – 道氣論을 중심으로 –
동양철학연구
2018 .01
도교 문학에 나타난 생태 여성주의
도교문화연구
2017 .11
한국 도교의 죽음의식
열상고전연구
2016 .12
팬데믹 시대를 살아가는 노인의 삶의 질: 노년학 이론에 대한 도교적 이해를 중심으로
도교문화연구
2021 .05
고려 태조대의 道敎와 醮禮
도교문화연구
2016 .05
신선설화를 읽는 방법 : ‘自然’에 대한 메타 독법을 중심으로
중국어문학논집
2017 .06
『道敎文化硏究』 所載 文學 關聯 論文 考察
도교문화연구
2018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