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과학기술의 시대, 도교를 바라보는 시선
2. 과학적인 혹은 신비로운 이야기
3. ‘自然’에 대한 메타독법: 物化와 생명력
4. 도교적 상상력을 넘어서
〈參考文獻〉
〈ABSTRACT 〉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갈홍 신선사상의 도교 철학적 맥락 탐색 -포박자내편을 중심으로-
漢文古典硏究
2019 .01
신선서사의 뉴미디어적 재생산― ‘계룡선녀전’을 중심으로
중국소설논총
2019 .01
새로운 도학으로서 한국의 도가
한국철학논집
2024 .02
한・일 설화문학에 나타난 산속 이상향 연구
일어일문학연구
2019 .01
고전무협서사와 서구 좀비물의 만남 — 넷플릭스 〈킹덤〉을 중심으로
중국문화연구
2022 .02
변계량의 사상과 도교 인식
국학연구
2021 .11
위대한 ≪중국, 중국인≫: 린위탕 스타일 -상호보완으로서의 유교와 도교-
중국어문학
2017 .01
『사람의 아들』의 노장(老莊)적 독해
어문론총
2018 .09
도교중국화의 역사적 함의와 실제 ― 「中国道教协会章程」과 「道教五年工作规划纲要(2019-2023)」를 중심으로
중국학
2020 .01
申欽의 末世觀과 시조에 나타난 隱居의 두 양상
고전과 해석
2016 .01
정신공간의 역할과 한국 고전시의 인지적 접근 : 松江 鄭澈의 <關東別曲>을 중심으로 하여
언어과학연구
2017 .06
선교장 소장 『황정경(黃庭經)』 탁본의 철학적 생명관
생명연구
2018 .11
신선사상 기원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 -‘황제동도설’을 중심으로-
고조선단군학
2020 .12
한국 도교의 죽음의식
열상고전연구
2016 .12
高麗齋醮研究
도교문화연구
2017 .05
道家生命思想的本质、特征以及价值观念
孔子學
2017 .05
권근權近의 도교 인식과 청사
국학연구
2020 .03
봉우 권태훈의 도가철학적 사유의 계승 문제
동서철학연구
2023 .03
대안적 세계의 창의적 제시, <손천사영이록(孫天師靈異錄)> 연구 : 작품에 나타난 도술모티프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024 .06
『震閥彙攷續編』을 통해본 道流의 삶 -‘道流’篇의 내용 고찰
漢文學報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