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張譽允 (中國 北京語言大學)
저널정보
국제언어문학회 국제언어문학 국제언어문학 제45호
발행연도
2020.4
수록면
7 - 41 (35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논문은 춘추시대에 정목공(鄭穆公)의 딸인 하희(夏姬)가 진(陳)·초(楚)·진(晉) 삼국에 등장하는 전쟁사건을 중심으로 서술한 것이다. 역사서사 측면에서 『좌전』이 역사적 관점을 어떻게 해석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하희는 진나라 영공(靈公), 대부 하어숙(夏禦叔), 공녕(孔甯), 의행보(儀行父), 초나라 장왕(莊王), 사마자반(司馬子反), 대장 윤양로(尹襄老)와 그의 아들인 흑요(黑要) 그리고 대부 신공무신(申公巫臣) 등에 이르기까지 모두 사통하였다. 『좌전』은 이 사건으로 인한 삼국의 실패를 서술하여 오월(吳越) 쟁패 전쟁의 서막을 명시하고 있다. 역사적 서사란 역사적 사건을 구체적으로 서술하여 충실하게 재현해 내는 것을 말한다. 역사해석은 역사적 사건을 발전의 흐름에 따라 그 의미를 밝혀서 후세에 일깨움을 준다. 우리는 어떻게 역사적 서사를 정확하게 서술할 수 있을 것인가? 이에 대해 청대(淸代) 학자 강병장(姜炳璋)은 정곡을 찌르는 해답을 주고 있다. 즉, “한 역사적인 사건의 시작과 끝을 비교해 보면 득실을 알 수 있고, 한 사람의 시작과 끝을 비교해 보면 옳고 그름을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좌전』이 경전을 해석하는 패러다임이다. 그 패러다임은 첫째, 직접적으로 옳고 그름을 해석하는 것이다. 둘째, 서사를 통해 경전을 해석하는 것이다. 서사적인 부분은 성인(聖人)의 진정한 뜻을 밝히기 위해 가능한 한 상세하다. 본 논문에서는 사학가가 사료(史料)를 선별했던 방법을 적용했다. 『좌전』을 중심으로 『국어』, 『사기』와의 비교를 통해 좌씨(左氏)의 사학관을 연역 추론해 보고자 하였다.

목차

中國語要旨
1. 前言
2. 以史傳經, 剪裁運化
3. 左傳之解經方式
4. 結論
ABSTRACT
한국어 초록
参考文献

참고문헌 (37)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706-0005927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