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中國語要旨
1. 前言
2. 以史傳經, 剪裁運化
3. 左傳之解經方式
4. 結論
ABSTRACT
한국어 초록
参考文献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일본 출토 고대 목간 : 9세기 지방사회의 쌀의 출납 장부
목간과문자
2017 .06
18세기 서울 여성 연안이씨(延安李氏)가 안동 하회 며느리로 사는 방식 - 시아버지 류운의 한글 편지를 중심으로 -
여성과역사
2024 .06
高麗大學校所藏燕行文獻≪華簡≫淺考
중국어문논총
2018 .01
秦의 ‘新地’ 인식과 점령지 지배
중국고중세사연구
2017 .11
주체 사관에서 인민과 민족의 자리
역사비평
2022 .08
長沙呉簡에 보이는 ‘市布’에 대해서
목간과문자
2017 .12
韓中間 對外機密 유지를 위한 諺簡 실용의 한 사례 - 1796년 冬至副使 李亨元이 義州府尹 沈晉賢에게 부친 諺簡 -
장서각
2019 .10
식민사관 비판론의 등장과 내재적 발전론의 형성
사학연구
2017 .03
論語 木簡을 통해 본 東아시아 論語 傳播
민족문화
2022 .03
Two Memories, Two Historiographies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19 .06
『왕생요집』의 말문서간(末文書簡) 고찰 - 표현의 모호성과 해석의 문제를 중심으로 -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24 .11
日本 木簡硏究의 시작과 현황
목간과문자
2015 .06
『임나흥망사』를 통해 본 스에마츠 야스카즈의 역사관
역사비평
2020 .08
근대 한글 간찰서식집 연구
古文書硏究
2017 .08
진한(秦漢)시기 좌사(佐史)에 대한 재고찰
인문논총
2023 .05
嶽麓秦簡을 통해 본 簡牘 文書의 형태와 규격
중국사연구
2022 .02
海昏漢簡 『論語』 初讀 - 전한 중기 論語學의 고찰을 겸하여 -
목간과문자
2021 .06
신 출토 월성 해자 목간의 재검토
신라사학보
2024 .12
일본 7세기 목간에 보이는 한국목간
목간과문자
2019 .06
목간(木簡) 자료를 통해 본 고대 동아시아세계
동서인문
2019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