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Ⅰ. 문제의 소재
Ⅱ. 여러 가지 ‘市布’ 기록
Ⅲ. 入市布簡 검토
Ⅳ. 布簿의 작성순서와 入市布簡의 위치
Ⅴ. ‘市布’로부터 살펴본 ‘調’
참고문헌
〈A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일본 출토 고대 목간 : 9세기 지방사회의 쌀의 출납 장부
목간과문자
2017 .06
18세기 서울 여성 연안이씨(延安李氏)가 안동 하회 며느리로 사는 방식 - 시아버지 류운의 한글 편지를 중심으로 -
여성과역사
2024 .06
高麗大學校所藏燕行文獻≪華簡≫淺考
중국어문논총
2018 .01
秦의 ‘新地’ 인식과 점령지 지배
중국고중세사연구
2017 .11
韓中間 對外機密 유지를 위한 諺簡 실용의 한 사례 - 1796년 冬至副使 李亨元이 義州府尹 沈晉賢에게 부친 諺簡 -
장서각
2019 .10
論經說義 敘事解經一一以夏姬之人物敘事 論《左傳》之解經模式
국제언어문학
2020 .04
論語 木簡을 통해 본 東아시아 論語 傳播
민족문화
2022 .03
『왕생요집』의 말문서간(末文書簡) 고찰 - 표현의 모호성과 해석의 문제를 중심으로 -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24 .11
日本 木簡硏究의 시작과 현황
목간과문자
2015 .06
근대 한글 간찰서식집 연구
古文書硏究
2017 .08
진한(秦漢)시기 좌사(佐史)에 대한 재고찰
인문논총
2023 .05
嶽麓秦簡을 통해 본 簡牘 文書의 형태와 규격
중국사연구
2022 .02
海昏漢簡 『論語』 初讀 - 전한 중기 論語學의 고찰을 겸하여 -
목간과문자
2021 .06
신 출토 월성 해자 목간의 재검토
신라사학보
2024 .12
漢和辭典 侯韻 字音 規定의 문제점
일본학보
2016 .01
일본 7세기 목간에 보이는 한국목간
목간과문자
2019 .06
목간(木簡) 자료를 통해 본 고대 동아시아세계
동서인문
2019 .10
戰國楚簡代詞研究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5 .08
走馬樓吴簡“隱核波田簿”的析分與綴連 - 再論陂塘形製和陂田興復-
동서인문
2021 .08
漢和辭典 通攝韻 字音 규정의 문제점
日本學硏究
2015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