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요약
1. 서론
2. 해방 후 북한의 정치 상황과 『평양지』의 간행
3. 『서산대사』의『평양지』수용과 서사적 확장
4. 폐허가 된 평양 재건과 『서산대사』의 소설적 상상력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근대전환기 지역공동체의 변화: 기독교와 접속한 평양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21 .01
『儀禮』에서 ‘祭’ 儀節에 관한 法象論的 고찰
철학연구
2023 .02
종결어미 {-지}의 의미 분석
한국어학
2017 .05
근대시기 평양 지역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1970년대-2022
숭실사학
2023 .06
일제의 근대 식민지 도시 ‘대평양’ 건설과 평양 조선인들의 대응
현대유럽철학연구
2022 .07
평양 도시 건설 스펙터클에 관한 소고 — 열망과 체념의 정동을 중심으로 —
개념과 소통
2019 .01
평양 로컬리티를 통한 金史良 문학의 재인식
어문연구(語文硏究)
2023 .03
金炳淵(1896~1965)의 해방 후 『평양지』 편찬과 민족주의적 식민지 기억의 차질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24 .06
Rethinking Economic Sanctions on North Korea: Why Crippling Economic Sanctions Will Not Make North Korea Denuclearize
Korea Observer
2022 .03
‘平壤箕城圖’를 통해 본 平壤城의 構造와 現況
백산학보
2016 .01
벌나(平那平壤)와 아사달(阿斯達九月山)에 대하여
인문언어
2017 .01
북한문학에 나타난 평양의 ‘전근대-근대-현대’ 심상지리와 주체체제의 문화정치
반교어문연구
2018 .01
8世紀경 平壤城의 位置 -賈耽의 著述을 중심으로-
仙道文化
2019 .01
한국어 부가의문문 범주 설정에 대한 연구
한글
2023 .03
장형 부정문의 어미 ‘-지’ 연구
한글
2021 .06
전후복구시기 ‘수도’ 평양의 탄생과 상징공간의 조성(1953~1956)
도시연구
2022 .03
일제강점기 미디어를 통해 본 여행지로서 ‘평양’과 ‘평양인’
통일인문학
2016 .06
1920~30년대 평양 지역 여성운동의 전개와 성격 -평양여자기독교청년회와 근우회 평양지회를 중심으로-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20 .08
박완서 소설 『서있는 여자』의 젠더 지리학과 정체성 탐색
인문사회과학연구
2016 .01
북한 정권의 평양 인식 변화와 활용 -고조선ㆍ고구려사 연구 추이와 관련하여-
선사와 고대
2021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