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정병철 (경남대학교)
저널정보
언어과학회 언어과학연구 언어과학연구 제91집
발행연도
2019.12
수록면
111 - 139 (29page)
DOI
10.21296/jls.2019.12.91.111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AENM is a connectionist model of polysemy with the basic notion that metonymy is a primary source of meaning extension. Based on its mechanism, AENM suggests that providing visual aids illustrating accompanied experiences motivating an extension of a word meaning facilitates the learning of its extended meaning in L2 contexts. To verify this assumption, this study employed PsychoPy3 software to keep track of a threefold experiment that evaluates learners’ improvements in knowledge, processing speed, and self-efficacy. The significant improvements of the VA(Visual Aids) group in the posttest seem to indicate that instructional treatment indeed facilitates the learning of the polysemous verbs for KFL students. The comparison of mean reaction time and self-efficacy of the VA and NVA groups as well shows that AENM-based visual aids are helpful for learning L2 polysemous verbs. Converging evidence from the threefold experimental domains confirms that using AENM-based visual aids is an effective way to facillitate learning polysemous verbs in L2 learning contexts.

목차

1. 서론
2. 연구의 이론적 배경과 학습 자료의 제작 원리
3. 실험의 설계와 실험 방법
4.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18)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700-000543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