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독일어 교육과정 <평가>체제
Ⅲ. 독일어 교육과정 <평가>진술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ChatGPT를 활용한 독일어 쓰기 학습 방안: 독일어능력시험 A2 쓰기능력 평가를 중심으로
언어과학연구
2023 .09
나라 갈배움길 고치기에 생각 보태기 - 국가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소고
동남어문논집
2020 .01
국어과 평가의 문제점과 체계화 방안 - 수행과 지필 평가의 균형적 접근을 중심으로
어문론집
2021 .03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독일어 I 수업설계 및 실행
장신논단
2016 .12
독일어능력시험 B1의 영역별 통합 교수-학습 모형 적용과정에서 나타나는 산출오류 및 효과분석
언어과학연구
2018 .12
아랍어 기원의 독일어 단어 - 독일어로의 직접 차용과 독일어로의 간접 차용 -
독일연구 - 역사·사회·문화
2024 .02
국가 수준 한국어 교육과정의 체제 연구
이중언어학
2020 .01
2015 개정 초등 교육과정 문제와 현장 중심 교육과정 정책 방향
우리말교육현장연구
2018 .01
중국 고등학교 개정 『사상정치』 교육과정 연구
재외한인연구
2021 .06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듣기⋅말하기 영역에 대한 사용자 관점에서의 평가
한국초등국어교육
2023 .04
북한의 2013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특징
국어교육연구
2016 .10
Unterrichtssprache im DaF-Unterrichtt
인문학연구
2015 .06
A critical review of the basic communicative expressions in the 2022 Revised High School German Curriculum
언어과학연구
2025 .03
2022 개정 漢文科 敎育課程 ‘評價’의主眼點 및 特徵
漢文敎育論集
2023 .06
독일 언어정화주의 담론의 역사- 17세기부터 1945년까지
유럽사회문화
2018 .06
독서 과목 수행평가의 타당도 제고 방안
국어교육연구
2018 .02
한문과 독해 영역의 평가 요소와 문항유형
漢字漢文敎育
2015 .01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현장으로부터의 질문과 도전 - 교육과정 기획자로서의 교사의 출현 -
문학교육학
2022 .03
한국어 문화 교육 내용으로서의 ‘통일’에 관한 연구 - 외국어로서의 독일어(DaF) 교육의 교재 분석을 바탕으로 -
국어교육연구
2015 .12
독일어와 한국어 모국어화자의 독일어 어두 유성 파열음 VOT 분석과 DaF에의 활용방안: 독일인, 오스트리아인, 스위스인 화자를 중심으로
언어과학연구
2022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