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Unterrichtssprache
Unterrichtssprache im Fremdsprachenunterricht
Wichtigkeit von Deutsch als Unterrichtssprache im DaF-Unterricht
Konzeptualisierung in der Fremdsprache
Erklären durch Bilder (Visualisierung)
Einsprachige Erklärungen
Gezielter Einsatz von Englisch als lingua franca
Literatur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독일 언어정화주의 담론의 역사- 17세기부터 1945년까지
유럽사회문화
2018 .06
서독 정부의 대한 기술원조 - 호만애암/한독고등기술학교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역사비평
2019 .05
독일어와 한국어 모국어화자의 독일어 어두 유성 파열음 VOT 분석과 DaF에의 활용방안: 독일인, 오스트리아인, 스위스인 화자를 중심으로
언어과학연구
2022 .12
[독일] ‘독일모델’ 배우기의 너머
역사학보
2017 .09
ChatGPT를 활용한 독일어 쓰기 학습 방안: 독일어능력시험 A2 쓰기능력 평가를 중심으로
언어과학연구
2023 .09
독일통일과정을 통해서 본 한반도 통일과 사회통합을 위한 교회의 역할 모색
신학과 목회
2016 .05
Study of Textual Features in English Composition by Korean and German College Students
언어연구
2017 .01
2001년 이후 한독관계사 연구의 동향
독일연구 - 역사·사회·문화
2024 .08
`독일문제`는 해결되었는가? : `독일문제`의 과거와 현재
역사와 세계
2016 .12
독일어 교육과정 〈평가〉진술 고찰 - 독일어Ⅰ을 중심으로 -
동서인문학
2020 .02
유럽시장에서의 한-독 통역 및교육과정에 대한 시사점: 통역 연구자의 관찰 및aiic 통계자료를 토대로
통번역교육연구
2015 .01
Transnational Solidarity in Feminism : The Transfer and Appropriation of German Feminism in South Korea
Korea Journal
2015 .03
이미륵 독일 한국학의 보편적 이상향 -거대한 푸가는 니르바나에서 시작한다
국어문학
2022 .11
독일 유대문학의 개념 형성 및 정체성 이해
세계문학비교연구
2015 .01
Zur Didaktisierung von Modalpartikeln im koreanischen DaF-Unterricht
인문과학
2023 .04
Limits of Reflective Memory Culture: The German Media’s Understanding of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sue, 1990–2019
Korea Journal
2021 .03
1차 대전 시기 독일의 ‘1914년의 이념들’에 나타나는 역사 해석과 정체성
코기토
2020 .06
루터의 종교개혁이 독일 문화에 미친 영향들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2020 .01
“독일, 통일된 조국”: 1989년 동독의 민주주의혁명과 통일문제의 관계
독일연구 - 역사·사회·문화
2020 .01
나의 ‘독일땅 한국-사람’ 이야기
한국여성신학
2018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