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들어가며
Ⅱ. 본론
Ⅲ.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从探索到转型:论中国第五代导演的电影观念
중국어문학
2015 .01
문학과 영화의 상호매체적 관점에서 본 영화의 확장성과 한계성 고찰
유럽사회문화
2015 .12
중국과 러시아 영화사를 통해본 영화정책 변모양상 : 1896~1950년대까지를 중심으로
슬라브학보
2017 .03
러시아와 중국의 영화정책 상관성 연구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2017 .01
들뢰즈의 감각과 기호 개념을 통해 본 존재에 대한 영화적 사유 :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의 영화<솔라리스>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2024 .12
‘실재’의 소리 : <솔라리스> 사운드스케이프와 ANS 신디사이저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2022 .05
사유하는 영화
철학연구
2015 .12
중국영화 비평을 위한 좌표들 ― 영화산업 환경의 변화를 중심으로
중국어문학지
2021 .01
해방 이후 뉴스-문화영화 제작사 연구 ― 민간 영화사를 중심으로 ―
사림
2015 .01
알렉산드르 코베리제 감독의 영화 《하늘을 바라본다, 바람이 분다》 연구
슬라브학보
2022 .12
안드레이 즈뱌긴체프 영화 속에서 드러난 부재를 통한 현실 재현
노어노문학
2020 .06
일본 영화소설의 전개 양상 - 191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
일어일문학연구
2016 .08
포스트모더니즘과 디지털 영화 미학의 상관관계 연구
인문과학연구
2016 .03
한·중 합작영화의 성과와 한계
동아인문학
2022 .12
영화이미지의 인용불가능성, 또는 어떻게 ‘콧수염’은 신화가 되었는가?
비교문학
2019 .01
세르게이 파라자노프의 카르디오그램: 민속지학적 시각과 초장르적 예술이미지
세계문학비교연구
2015 .01
불화와 화해의 영화적 변주곡 ― 한국 영화 「곡성」, 「밀양」, 「만신」을 중심으로
국학연구
2020 .03
중국 여성감독 리위(李玉)와 그녀의 영화세계
중국어문논총
2018 .01
국제영화제와 러시아/소비에트 영화의 발견
동유럽발칸연구
2021 .01
공공역사로서의 역사영화와 개연성으로서의 역사
역사비평
2022 .0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