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문서고 혁명’과 북한사 연구
소련의 대한반도 정책과 북한 국가의 형성
북한 국가 건설의 주체와 분단의 기원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냉전 시기 소련-북한의 비대칭동맹과 북한의 자주외교
슬라브硏究
2019 .01
1950년대 중반 북한의 경제난과북소 관계의 균열
史叢(사총)
2021 .09
사회주의 우방 간의 경제적 실리 찾기: 1960년대 북소 경제협력 협상의 구도 변화
서양사연구
2023 .05
북한 역사학과 소련 역사학의 관련성 - 1945년부터 1963년까지
한국학연구
2021 .06
신중국 건국 전후 번역된 ‘북조선’ -『우리는 조선을 보았다』의 번역과 간행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2024 .05
전후초기 중국 동북지역 적산처리를 둘러싼 중미소의 갈등
탐라문화
2016 .06
소련과 서방의 경제-기술 교류: 1965~1975년 식품공업부 사례를 중심으로
서양사연구
2023 .05
1960년대 북소 · 북중관계와 ‘혁명전통’의 변화
한국사연구
2022 .06
디아스포라 고려인 시에 나타난 조국과 고향의 변화양상
어문연구(語文硏究)
2015 .12
북한의 제1차 5개년계획(1957~61) 초안과 탈소련화의 개시
역사학보
2021 .03
최초의 고려인 문학선집 『로력자의 고향』에 대한 문화사적 고찰
슬라브학보
2019 .06
1946년 여름 슈티코프 보고서와 북한의 국가 토대 형성
역사비평
2015 .08
러시아 역사 교육의 현안들 - 역사 교육의 목적, 역사 교과서, 단일국가시험 역사과목을 중심으로
슬라브학보
2019 .12
1950년대 소련에 번역·출판된 한국문학 연구
국제한인문학연구
2024 .08
남·북·러 3각 가스사업과 유럽의 교훈 : 소련-서독 간 가스교역을 중심으로
슬라브학보
2019 .12
구소련 국가들의 주권에 대한 러시아 측 시각과 소비에트 시기 민족공화국의 법적 지위: 러시아 문명주의 역사관에 대한 일고찰
슬라브학보
2022 .12
전후 북한에서의 소련계 숙청과 국적 문제(1954~1958)
동북아역사논총
2017 .06
영토와 영광: 러시아 우주 개발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2015 .01
Korean and Chinese Settlers and Migrant Workers in the Soviet Far East (1920–1930)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23 .06
중화민국정부의 소련제소안 의결과 미국의 영향(1949-1952)
중국근현대사연구
2017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