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중국문화학회 중국학논총 중국학논총 제61호
발행연도
2019.1
수록면
155 - 179 (25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집안의 장자로서 동생들은 훈도한 왕사록은 그 성향과 학식은 물론 문예에 대한 관심과 취향마저도 왕사정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훗날 왕사정이 신운설로 대성하면서 왕유와 맹호연 위주의 沖和淡遠한 일파를 숭상한 것도 어린 시절 왕사록에게 배운 學詩의 영향이라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가장 큰 영향 요소를 꼽으라면 왕사록이 일생을 두고 심취했던 불교사상과 그가 큰 관심을 가졌던 여성주의 문학이라는 점이다. 왕사록은 仕宦의 길이 평탄치 않았고, 聲望에서도 동생 왕사정을 따라가지 못하였으며, 특유의 진중한 성격 때문에 內的 우울감이 비교적 심하였다. 이러한 본인의 기본 성격을 불교와 여성을 소재로 한 시를 쓰며 해소했던 점을 당시 문인들은 크게 강조하고 있다. 왕사록의 이러한 성향은 왕사정에게 영향을 주었다. 왕사정의 신운시학이 본질적으로 禪宗의 이론체계를 그대로 채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는 비단 전통 시학의 영향을 뛰어 넘어 왕사정이 생활상에서 체득한 불교철학이 그의 시학에 그대로 투영되는데 큰 일조를 하였음을 부인할 수 없다. 동시에 왕사정은 20대에 향렴시에 깊이 빠져 있었는데, 이는 그의 형의 취향과 함께 어우러졌을 것이라는 추측이 충분히 가능하다. 특히 왕사록은 향렴시를 淫靡한 시로 여기던 기존의 시각에 반대하고, 인간 본연의 감정을 노래한 순수한 사랑의 노래로 보면서 이는 중국 전통의 서정시와 궤를 같이 한다고 여겼다. 이러한 왕사록의 관점은 왕사정에게서도 그대로 드러나는데, 왕사정이 비단 향렴시 뿐만 아니라 詞의 창작에서도 여성과 그 주변을 소재로 한 작품을 기피하지 않고 오히려 詩友들과 같이 작품을 짓고 비평하는 등 향렴시를 서정시의 범주로 인식하고 있는 점은 그의 형 왕사록과 동일한 관점이라 할 수 있다. 심지어 왕사정은 향렴시를 당시 사회를 반영해 내는 寫實主義 관점에서도 능히 바라볼 수 있다고 여겼다. 이것은 향렴시가 어느 정도는 諷諭의 기능을 하는 중국 시가의 본래의 모습과 기능을 모두 갖추고 있음을 말하는 것이다. 이 두 형제는 이렇게 불교에 의지하고 향렴시를 지으며 고단한 세월을 이어 나갔다. 이들의 취향은 문학에 그대로 반영되어 그 창착과 이론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두 형제의 두터운 우애가 바탕이 된 상호 협력과 보완의 관계는 두 형제를 한 시대를 대표하는 뛰어난 문인으로 성장시키고 자리매김하는데 부족함이 없었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