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Priscilla Choi (Torch Trinity Center for Islamic Studies)
저널정보
한국신학정보연구원 Canon&Culture Canon&Culture 제13권 제2호 (통권 제26호)
발행연도
2019.10
수록면
5 - 42 (38page)
DOI
10.31280/CC.2019.10.13.2.5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오늘날 이슬람교의 결혼에 관한 문헌은 더 이상 희귀한 것이 아니다. 이는 연구주제를 일부다처제에 관한 무슬림 혼인전통의 발전으로 한정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며, 남편이 보유한 일방적인 이혼권(talaq)에 관한 분쟁에 대해서도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흥미롭게도 ‘임시결혼’과 관련해서는, 그것이 이슬람의 오래된 혼인전통임에도 불구하고, 매춘을 합법적으로 은폐하기 위한 것으로 알려진 시아파의 악명높은 ‘임시결혼’(muta nikah) 관행에 초점을 맞춘 일단의 연구를 제외하면 다양한 문헌연구가 집적되지 못한 현실이다. 수니파에서 지속되고 있는 ‘임시결혼’(misyar nikah) 관행에 관한 연구는 더욱 희귀하며, 그나마 최근에서야 BBC등과 같은 비무슬림 대중매체로부터 관심을 받게 된 정도이다.
“결혼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근본적으로 누가 결혼이라는 제도를 지배할 수 있는 권한을 보유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묻는 것이다. 결혼은 그리스도인에게 있어서는 성사(sacrament)이지만, 무슬림에게 있어서는 민사계약(civil contract)에 해당한다. 기독교인의 결혼관은 보통 “죽음이 우리를 갈라 놓을 때까지”라는 결혼서약을 통해서 표현되는 남편과 아내 사이의 신성한 연합(sacred union)으로서, 이는 하나님 앞에서 그리고 하나님과 맺은 언약으로서의 결혼이라는 관계를 지켜나가겠다는 약속을 의미한다. 반면 이슬람교에서의 결혼은 언약(covenant)이라기 보다는 일종의 민사계약 개념으로서 부부생활의 의무를 강화시켜 줄 수 있는 결혼의 종교적 측면을 현저히 약화시켜버린다.
이 논문은 현대 이슬람교와 기독교 상호간에 특징적으로 구별되는 결혼에 관한 최소 4가지 범주의 주요 사상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첫 번째 범주는 결혼의 기본 개념에 대해서 기독교와 이슬람교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축약하면 이슬람교는 결혼을 민사계약으로 분류한 결과로서 기본적인 성 편견적 구조와 지침을 잔존시키는 동시에, 혼인에 대한 책임을 부여하기 보다는 오히려 부정의를 영속화하고 있다. 그밖에 본 논문이 다루고 있는 또 다른 3가지 범주의 사상은 ‘다른 종류의 결혼제도’, ‘복혼관행’, ‘이혼관행’으로서, 최근 이에 관한 내용은 비무슬림 사회규범 및 법리연구를 통해서 확인되고 있다.

목차

1. The Marriage Contract
2. Different Types of Marriages
3. Poligamy
4. Divorce
5. Conclusion
References
초록
Abstract

참고문헌 (8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230-001285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