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1. 들어가며 - 다원화된 민주사회의 역사 갈등과 분쟁
2. 집단 내부의 소통과 정체성 확립으로서의 ‘역사정치’ 이론 -슈미트를 중심으로
3. 다원화된 집단에서 ‘역사정치’의 동기와 전개과정 그리고 지향점-베아트릭스 부비어와 미카엘 슈나이더를 중심으로
4. 나오며-역사정치-다원화된 민주사회의 역사 담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송은영, 『서울 탄생기: 1960~1970년대 문학으로 본 현대도시 서울의 사회사』(푸른역사, 2018)
문화과학
2019 .03
역사가 할 수 있는 것, 해야 하는 것
역사비평
2021 .08
대중적 역사현상의 이론적 메커니즘 - 외른 뤼젠의 역사문화(Geschichtskultur) 이론을 중심으로 -
서양사론
2016 .03
비판적 사고를 위한 역사인식과 학습방법
역사와 담론
2016 .10
이상과 이상 문학의 역사·정치화에 대하여
한국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9 .12
학생의 다양성과 역사교육 : 학생의 역사 정체성 및 역사의식, ‘다원적 역사’에 대한 해외 연구 검토
역사교육
2018 .12
역사 교육
시조시학
2016 .08
일제강점기 역사 연구 방법론과 역사문학의 거리
문학교육학
2023 .03
공공역사: 개념, 역사, 전망
독일연구 - 역사·사회·문화
2016 .01
역사대중화와 디지털 역사자료 -역사소비의 변곡-
역사민속학
2018 .12
역사영화를 매개로 한 역사비평의 가능성 : 역사대중화와 역사의 대중문화화 사이에서 역사연구자의 역할을 고민함
사학연구
2016 .03
역사교육에서의 다원적 관점 이론
史叢(사총)
2015 .01
역사에서 기억으로, 정치에서 문화로
새한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7 .04
공공역사와 역사교육 : 제도적 역사교육 기관으로서 박물관의 책임과 역사 전시 방향
현대사와 박물관
2020 .12
역사는 역사다- 역사의 오용을 경계하며
역사비평
2019 .08
‘공공역사’에 기초한 학교 역사교육으로의 변화 가능성 탐색
역사와교육
2021 .11
역사 문해력의 개념과 역사교육과정 적용 - 미국, 영국, 호주 교육과정을 사례로 -
역사와 담론
2021 .01
1930년대 역사문학론의 관점에서 본 사화와 야담, 역사소설의 거리
인문연구
2021 .12
역량 중심 역사교육을 통한 역사학습부진 극복 연구
역사와교육
2018 .01
공공역사의 쟁점과 과제
독일연구 - 역사·사회·문화
2023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