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들어가며
II. 도덕적 분신 : ‘공평한 관찰자’와 ‘인간 속 인간’
III. 허구적 공감을 향하여
IV.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아담 스미스의 『도덕감정론』 과의 연관 속에서 찰스 디킨스의 『돔비 부자』 읽기
19세기 영어권 문학
2015 .02
칸트 양심론의 본질에 관한 고찰 - 양심무오설과 양심법정설의 연계적 관점에서 -
건지인문학
2016 .01
도스토예프스키극의 한국 공연사 연구
노어노문학
2016 .09
도스토옙스키 『죄와 벌』에 나타난 ‘죄’와 ‘벌’의 의미
동서인문
2019 .04
이홍주(李泓周)의 ‘도덕관’ 분석 - 그의 “良心의 威力”(1922)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20 .04
도스토예프스키의 소설 『죄와 벌』의 각색 연구 : 국내 공연 대본을 중심으로
동서비교문학저널
2016 .12
도스토옙스키 소설『죄와 벌』에 나타난 헤테로토피아 연구
노어노문학
2016 .03
나보코프의 도스토예프스키 읽기 - 『절망』을 중심으로
슬라브학보
2021 .12
헤겔의『정신현상학』에서 양심의 변증법과 상호인정의 공동체
동서철학연구
2022 .09
루터의 종교개혁적 양심 : 칸트의 자율적 양심론의 한계를 넘어서
신학연구
2017 .12
양심적 행위의 도덕교육적 함의
윤리연구
2016 .09
김춘수와 도스토예프스키 (1) -시집 『들림, 도스토예프스키』에 나타난 대화적 관계의 특성-
한중인문학연구
2015 .01
스미스의 도덕감정론에 나타난 도덕법칙
윤리연구
2017 .01
스미스의 공감과 도덕감
윤리연구
2016 .12
도스토옙스키의 장편 『죄와 벌』의 큰 대화와 슈제트 대화
노어노문학
2015 .09
도스토옙스키와 시각 시각 학습과 윤리의 문제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2019 .01
근대소설과 『죄와 벌』 : 수용사 개관을 겸하여
서강인문논총
2016 .04
Sentiment Analysis on Ibsen’s “A Doll’s House”
응용언어학
2023 .09
칸트 양심론의 체계와 방향 ― 도덕과 종교의 매개에 집중하여 ―
건지인문학
2017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