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러시아문학회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제65호
발행연도
2019.1
수록면
63 - 84 (22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Visual cognition is the key to understanding Dostoevsky. In his texts, seeing is always intertwined with knowing. As he insisted in numerous critical essays, the most significant human organ for an artist is the eye, and the most crucial barometer for a genuine artwork is the proper act of seeing. The proper act of seeing for him has nothing to do with verisimilitude or photographic accuracy. Mimesis, whether a visual, or psychological, or linguistic, cannot be a goal of perception. What is important is how to see a human being as a human being with human eyes. Seeing can be an act of domination and exploitation. In order to see a fellow human being as a human being, we have to learn to make seeing an act of compassion. In short, for Dostoevsky seeing is not only a cognitive act, but an ethical act.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