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한문교육학회 漢文敎育論集 漢文敎育硏究 제46호
발행연도
2016.1
수록면
93 - 121 (29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漢文의 讀解’는 ‘漢字와 語彙’와 함께 ‘漢文의 理解’ 領域의 核心 槪念으로 제시된 것이다. ‘漢文의 讀解’는 ‘일반화된 지식’으로 ‘문장을 구성하는 성분들 사이에는 일정한 결합 방식이 있다.’, ‘화자(話者)가 자기의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하는 문장에는 여러 가지 유형이 있다.’, ‘글을 이루는 단어, 구절, 문장은 뜻이 있는 단위들이면서 읽을 때 음의 변화가 일어난다.’, ‘한문은 글의 내용과 형식에 유의하여 읽어야 글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다.’ 등 네 가지를 제시하였다. 이 ‘일반화된 지식’들의 내용은 2009 개정 교육과정 ‘漢文知識’ 領域의 ‘文章’과 ‘讀解’ 領域의 ‘읽기’, ‘理解’의 내용과 일정하게 조응하는 것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 ‘漢文의 理解’ 領域의 核心 槪念 ‘漢文의 讀解’의 범위가 2009 改定 敎育課程의 ‘讀解’ 領域보다도 더 넓음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漢文의 讀解’는 그 범위가 2009 改定 敎育課程의 ‘讀解’ 領域의 中領域 ‘읽기’, ‘이해’를 모두 포함할 뿐만 아니라 거기에 더해 ‘漢文知識’ 領域의 中領域 ‘文章’까지도 아울러 포괄하고 있는 것이다. 이글은 먼저 2015 改定 漢文科 敎育課程 ‘漢文의 理解’ 영역의 핵심 개념 ‘漢文의 讀解’의 內容 要素를 槪觀하고, 이어서 ‘漢文의 讀解’의 成就基準을 이전 교육과정 성취기준과의 비교를 통해 분석한 것이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