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조선후기 충청도 감영의 營房과 향리 사회의 문화적 연망
역사와경계
2017 .03
조선시대 鄕吏 작폐 고발 한시 일고찰
동방한문학
2016 .01
손와(巽窩) 김경천(金敬天)의 울산 거주시기에 대한 고찰 : 지역 문사들의 한시를 중심으로
인문연구
2016 .04
고려 출수 목간의 지역별 문서양식과 선적방식
목간과문자
2017 .12
조선후기 통제영 영읍의 발전과 진리 집단의 형성
역사학보
2021 .03
17∼18세기 학성이씨 이질백(李質白) 가계의 경제력과 사회적 지향
울산사학
2018 .12
19세기 향촌사대부가의 山訟 실태와 滯訟 -潭陽 柳希春 후손가 소장 고문서를 중심으로
역사학연구
2017 .01
『南遷日錄』을 통해 본 기장현 향리들의 향권 쟁취를 위한 갈등
항도부산
2024 .07
조선시대 향촌조직 결성의 양상과 추이 고찰 -강릉지방의 사레를 중심으로-
江原史學
2015 .01
『목민심서』에 나타난 다산 정약용의 수령 인식과 지방행정의 방향
다산학
2016 .01
1802년 언양 향교의 儒案 작성과 새로운 구성원들
역사와경계
2018 .09
조선후기 공생(貢生)의 의미와 공생층 증가양상
역사와현실
2019 .03
李藝 관련 왕조실록의 誤記 : 국사편찬위원회 교감(校勘)의 우선순위
한일관계사연구
2017 .08
19세기 해남 鄕吏 鄭愚衡의 수신간찰 연구
古文書硏究
2017 .08
전라도 고창의 향리 신재효의 재부 축적과 그 운영-판소리 창자의 양성과 관련하여-
古文書硏究
2015 .01
高麗前期 武臣의 入仕路와 선발 조건
사학연구
2020 .12
임진왜란기 지방 이서의 전쟁 경험과 정리 작업 - 이탁영의 『정만록』을 중심으로 -
韓國史學史學報
2016 .12
『上詔文先生案』을 통해 본 조선시대 향리층의 변화양상 -『慶州先生案』을 중심으로-
한국사학보
2021 .11
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 이헌영(李헌永)의 향약 시행과 그 성격 : 19세기 후반 관찰사 주현향약(州縣鄕約)의 한 사례
인문학논총
2015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