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조직신학회 한국조직신학논총 한국조직신학논총 제49호
발행연도
2017.1
수록면
135 - 167 (33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논문은 한국교회의 태동과 형성과 성장 과정에 영향을 끼쳤던 북미기독교의 신학적 문법을 북미 최대 개신교 교단인 침례교와 감리교를 중심으로 개관하여, 현재 한국교회가 북미 기독교의 이름으로받아들이는 신앙과 신학의 근본 기류가 북미 개신교 교단을 대표하는 침례교와 감리교의 신학 사유와 얼마나 큰 차이를 보이고 있는 지를 반추하고 성찰해 보고자 함이다. 현재 한국 교회가 이해하고 있는미국의 신학과 신앙 유형은 지엽말단적인 측면이 매우 강하기 때문이다. 이는 미국의 주류 교단의 행정 체계와 교회교육이 실행되고 있는 현장에 대해 무지하고, 북미의 주요 신학대학에서 전개되고 있는신학에 대해서 박사급의 신분과 특권을 부여받고 배울 수 있는 기회또한 쉽지 않기 때문이다. 물론, 북미 개신교는 다양한 교파를 자랑하고 있어서, 단일한 하나의북미신학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할 수 있다. 교파를 잉태하고 그 교파를 지탱하고 있는 다종다양한 신학논리는 그 자체로 소중하며 존중받아야 한다. 그러나 본 논문은 북미 개신교 주류 교단인 침례교와감리교 신학으로 범위를 축소하여 양 교단 사이에 흐르는 신학의 공통분모를 북미 신학의 포괄적인 흐름이라고 상정해 보았다. 그런데 북미 침례교 신학과 감리교 신학은 이미 그 자체적으로 다양한 신학적 지향을 보이고 있어서 양자를 기계적으로 비교하는 것은매우 힘든 작업이므로 신학방법론과 강조점을 중심으로 비교 검토해 보겠다. 침례교에서는 맥클렌돈(James McClendon)이 제출한 침례교 비전(Baptist Vision)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감리교에서는 존 웨슬리(John Wesley)의 ‘웨슬리안 사변형 원리’(Wesleyan Quadrilateral)를중심으로 개관하여 양자의 공통분모를 찾아보겠다. 침례교 전통과감리교 전통에서 공히 강조하는 지점은, 성경의 유일성, 교회의 공동체성과 제자도, 중생이후 계속적인 성장을 강조하는 구속론과 고립적인 개교회주의가 아닌 선교적 교회라고 평가할 수 있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23)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