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1598년 조선 조정의 명군지휘부 접촉과 전쟁국면 調整
史叢(사총)
2024 .09
임진전쟁기 조선과 명의 전쟁인식과 군수정책
중국사연구
2022 .08
조선시대 조선과 명의 국경인식과 조명관계
역사문화연구
2024 .08
조선 전기 朝明외교관계의 함수, ‘禮義之國’
대동문화연구
2015 .01
장서각 소장 先生案의 현황과 사료적 가치
동양고전연구
2017 .01
두 조선 사행의 외교 활동과 명의 대응 -1627년의 김상헌과 1637년의 김육-
대구사학
2022 .08
谷口園 鄭象觀의 『史記』 애호와 그 의의 -「讀馬史」 및 南漢朝와의 왕복 서한을 중심으로-
한국한문학연구
2024 .08
朝鮮 初期 中國語 通譯 發展 背景에 관한 硏究 -≪朝鮮王朝實錄≫의 記錄을 中心으로-
중국어문학
2015 .01
정묘호란 이후 조선에 대한 명의 貢路⋅貢期 변경 및 조공사행 통제 강화
민족문화연구
2024 .05
朝鮮王朝“三唐”詩人的宗唐詩風與元明詩學
열상고전연구
2015 .08
To Remember the Ming: Eighteenth-Century Joseon Envoys and their Interpreters on the Ming-Qing Transition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22 .06
1920년대 開闢社의 조선지식 수집과 조선연구 토대 구축 - ‘조선문화 기본조사’의 추진과정과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역사연구
2019 .06
정지용 문학에서의 ‘조선’이라는 기표의 의미 - ‘기행 산문’과 ‘고향 시편’을 중심으로
어문연구
2019 .01
조선 전기 불상 특징과 조선 후기 17세기로의 이행
한국중세고고학
2019 .12
조선 초기 관료의 관청이동을 통해 본 주요 통치기구의 위상 — HAVNet 자료를 중심으로 —
사림
2021 .01
조선초기 대명정보의 활용과 사행(使行) 파견
백산학보
2023 .04
조선 성종대 외교의례 변경에 대한 논의와 대명의식
역사와현실
2015 .12
중국소설 《西遊記》 번역본의 조선후기 유통에 관한 연구 : 영남대 소장 번역필사본을 중심으로
중국어문논역총간
2017 .01
조선시대 불교사 시기구분 시론
불교학연구
2015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