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머리말
1. 성종 19년 조선과 명의 외교의례 절차에 대한 대립 양상
2. 『번국의주(藩國儀註)』와 『대명집례(大明集禮)』
3. 외교의례의 변경과 대명의식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1598년 조선 조정의 명군지휘부 접촉과 전쟁국면 調整
史叢(사총)
2024 .09
谷口園 鄭象觀의 『史記』 애호와 그 의의 -「讀馬史」 및 南漢朝와의 왕복 서한을 중심으로-
한국한문학연구
2024 .08
조선초기 대명정보의 활용과 사행(使行) 파견
백산학보
2023 .04
To Remember the Ming: Eighteenth-Century Joseon Envoys and their Interpreters on the Ming-Qing Transition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22 .06
고려말기⋅조선초기 迎詔儀禮에 관한새로운 이해 모색-『蕃國儀注』의 소개와 복원-
민족문화연구
2015 .01
조선 전기 朝明외교관계의 함수, ‘禮義之國’
대동문화연구
2015 .01
朝鮮王朝“三唐”詩人的宗唐詩風與元明詩學
열상고전연구
2015 .08
명 · 청 교체기 대명 사신과 거주민의 교류 - 최현의 『조천일록』을 중심으로 -
한국문학과 예술
2022 .09
조선시대 조선과 명의 국경인식과 조명관계
역사문화연구
2024 .08
임진전쟁기 조선과 명의 전쟁인식과 군수정책
중국사연구
2022 .08
두 조선 사행의 외교 활동과 명의 대응 -1627년의 김상헌과 1637년의 김육-
대구사학
2022 .08
정묘호란 이후 조선에 대한 명의 貢路⋅貢期 변경 및 조공사행 통제 강화
민족문화연구
2024 .05
The Zhonghua Community Strateg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Establishment of Rituals and the Change in Ming’s Attitude toward Joseon
Korea Journal
2023 .12
임진전쟁기 조선 사신의 대명(對明) 외교활동 ― 정유재란 중 대명 사행록을 중심으로 ―
온지논총
2022 .07
임진전쟁기 조선조정의 對明 일본재침 경보와 양국 공조
역사학보
2022 .03
朝鮮 初期 中國語 通譯 發展 背景에 관한 硏究 -≪朝鮮王朝實錄≫의 記錄을 中心으로-
중국어문학
2015 .01
16세기 조선 對明 불법무역의 확대와 그 의의
한국사연구
2015 .09
임진전쟁기 명사(明使)에 대한 외교의례 전개 양상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22 .09
五山禪僧의 對中國 집단학습활동을 통한 관련 지식 축적 및 인식 전파에 관한 연구(3)- 글로 배운 중국, 目睹한 중국 -
인문학연구
2024 .09
『國朝五禮儀』 賓禮에 편성된 對明儀禮의 특징과 朝鮮의 의도
한국사학보
2021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