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규철 (한국외국어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역사연구회 역사와현실 역사와 현실 제98호
발행연도
2015.12
수록면
169 - 197 (29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In the 19th year of king Seongjong’s reign, Joseon and Ming had a series of diplomatic collisions over protocol-related issues. The Ming envoys which visited Joseon argued that protocols should be observed as dictated in Daemyeong Jib’rye(大明集禮), while the Joseon government argued that Beon’guk Euiju(蕃國儀註) should be consulted primarily.
At the time, no Joseon official believed that the argument of the Ming envoy had any ground or basis. King Seongjong as well believed that it would be best and most appropriate to observe protocols which had been observed before. But the Joseon government eventually decided to make a compromise[權道] and yield to Ming’s demand. This demonstrates the ever increasing influence the Ming government had upon its Joseon counterpart, especially during the reign of Joseon king Seongjong.

목차

머리말
1. 성종 19년 조선과 명의 외교의례 절차에 대한 대립 양상
2. 『번국의주(藩國儀註)』와 『대명집례(大明集禮)』
3. 외교의례의 변경과 대명의식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13)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