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영미문학페미니즘학회 영미문학페미니즘 영미문학페미니즘 제23권 제3호
발행연도
2015.1
수록면
59 - 79 (21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Critics’ temporal position, that is their now, overshadows what they are doing. They unconsciously bring their temporal biases into a literary text. Therefore, it seems natural for critics to bring their current concerns to their passive target text without any consideration of its innate temporality. It seems impossible to contain this temporal brutality of criticism and let the text be resuscitated and talk to us. This paper will look for an answer to this problem in queer temporalities that deconstruct a ‘naturalized’ progression of temporality and unveil how multiple times equally jostle and claim their share in every moment. This paper aims to show how, with help of ideas of queer temporality, we can better understand a victimized text through a history of criticism about a medieval text, The Book of Margery Kempe.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26)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