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요약
Ⅰ. 서론
Ⅱ. 이건의 심층학습
Ⅲ. 이건의 심층학습 프로그램을 통한 인성 함양 방안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창조적 상상력 함양을 위한 한국형 LiD(Learning in Depth) 학습모델 개발
교육혁신연구
2017 .01
LiD(Learning in Depth)프로그램의 학습자 포트폴리오에 대한 질적 분석 : 부산 N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통합교육과정연구
2019 .01
LID 시범단지 설계절차 제시 및 빗물관리용량 산정
토지주택연구
2018 .10
저영향 개발(LID) 확대 적용을 위한 공간·환경 계획 관련 법·제도 평가 및 개선방향
지역연구
2018 .12
LID Retrofit 시범단지 설계 절차 개선
토지주택연구
2017 .10
지방정부의 저영향개발 적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
환경영향평가
2015 .01
강우 유형에 따른 저영향개발 기법별 물수지 분석
환경영향평가
2015 .01
깊은 학습(Learning in Depth)에서 인지도구의 적용 방안 탐색
한국교육학연구
2019 .01
Analysis of Stormwater Runoff Reduction Effect Through Applying Low Impact Development Practices in a Flood Prone Area : Case of Incheon, South Korea
국토연구
2019 .09
저영향개발(LID) 우선적용 지방자치단체 도출 방안 연구
한국환경정책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8 .02
깊은 학습(LiD)을 활용한 교육과정-수업-평가 일체화 방안
교육혁신연구
2019 .01
LID관련 지방정부 조례제정 특성 기초연구-서울시, 수원시, 남양주시를 중심으로-
환경영향평가
2016 .01
LID시설의 유출량 및 오염부하 저감효율평가를 위한 SWIMM모델의 적용
토지주택연구
2017 .10
도시유형별 LID 기술적용 설계 가이드라인 개발
한국환경정책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5 .02
미래교육을 준비하는 교육목적에 대한 교육철학적 탐구와 실천적 제안(LiD)
교육혁신연구
2021 .12
LID 적용가능 위치 판단을 위한 중첩지도 분석
Crisisonomy
2023 .02
BIM 기반 LID 시설 물량 자동 검토 모듈 개발
환경영향평가
2017 .06
Examining the Impact of LID Practices on Mitigating Stormwater Runoff in a Repetitively Flooded Area
Journal of Safety and Crisis Management
2020 .01
기존 일반주거지역을 대상으로 한 LID 적용 방안 탐색 : 인천광역시 상습 침수지역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정책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7 .11
Increasing Urban Resiliency by Examining the Flood Mitigation Effect of LID Practices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 Areas
Crisisonomy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