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I. 서론
II. 이론적 분석틀
III. 연구 설계
IV. 분석 결과
V. 결론과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동아시아 민주주의 국가에서 복지체제의 공정성에 대한 인식과 민주적지지: 일본, 대만, 한국의 비교
정부학연구
2019 .01
동아시아적 차원의 시민성 교육의 과제
글로벌교육연구
2017 .01
불평등과 투표참여 : 동아시아 민주주의 4개국 비교연구
평화연구
2018 .04
동아시아 복지체제의 특수성 : 독립적인 동아시아 복지체제가 존재하는가?
한국사회정책
2015 .09
비교적 관점에서 본 동아시아 선진민주주의 3국 일본, 한국 및 대만의 재분배 선호
아시아리뷰
2019 .08
뉴노멀 시대 동아시아 국가들의 민주주의 선호도
국가전략
2020 .01
동아시아 공공성은 가능한가? - 새로운 동아시아지역주의의 사상적 기반
아시아연구
2022 .05
경제적 낙관주의와 복지 태도: 동아시아 3국의 사례
아시아리뷰
2019 .08
Democratic Citizenship and Attitudes Towards Gender Equality in East Asian Democracies
아세아연구
2024 .09
A Study on East Asian Supply Chain Restructuring and Regional Cooperation under the Adjustment of Economic Globalization
한국동북아논총
2021 .06
미국 대중매체의 아시아 여성 재현과 대항적 문화예술 활동 : 최근 아시아계 여성 영상제작자들의 활동에 주목하며
비교문화연구
2022 .10
복지확대에 대한 태도 결정요인 분석 : 개인이익을 넘어서
OUGHTOPIA
2016 .05
한국 복지태도 변화에 관한 연구: 복지태도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
2021 .03
Nationalism, Regionalism and Prospects for an East Asian Community
유럽연구
2015 .03
동아시아 공동체에 있어 해역 공간의 재인식
아세아연구
2017 .12
쟁점 중심 사회과를 통한 동아시아 공동체 의식의 발달
글로벌교육연구
2018 .01
동아시아문화연구방법론에 대한 새로운 탐색
문화예술교육연구
2024 .08
동아시아 시민성 교육의 구안
글로벌교육연구
2020 .01
중국은 어떠한 동아시아 질서를 원하는가?
계간 외교
2019 .04
불평등과 민주주의: 미시 수준의 토대에 대한 동아시아의 증거
한국정치연구
202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