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머리말
2. 『玆山魚譜』가 저술된 흑산도 사리 마을
3. 흑산도 어류의 종류 및 민속분류법
4. 흑산도 어류 분류의 특징: 『玆山魚譜』와의 비교 관점
5. 맺음말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서해 어류의 민속 생물학적 분류와 변화: 곰소만 어촌의 민족지적 사례 연구
한국문화인류학
2018 .01
흑산도 마을 이름들 외 1편
문학들
2023 .05
흑산도 상어잡이 - 사라져 가는 전통 어로문화의 기록 -
도서문화
2020 .06
조선후기 어보(魚譜)의 ‘명물고증’ 작업과 동아시아의 지식 유통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23 .03
『玆山魚譜』의 해양생태인문학적 가치와 융합연구 제언
문학과환경
2019 .06
조선시대 어보의 민족생물학적 재해석: 정약전의 『玆山魚譜』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
2018 .01
정약전의 흑산도 유배기와 『자산어보』에 대한 재검토 : 세 가지 논쟁점을 중심으로
도서문화
2017 .06
통일신라~고려시대 흑산도 ‘읍동포구’의 ‘국제항’적 면모
해양문화재
2023 .06
유해류 역학서의 종합적 검토
국어사연구
2016 .01
조선시대 문헌에 나타난 제주도 동물의 통시적 연구 -≪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탐라지≫, ≪남환박물≫, ≪제주계록≫을 중심으로
탐라문화
2015 .10
신안 흑산도 무심사선원의 불교사적 위상-신라의 구법 양상과 관련하여-
史叢(사총)
2023 .01
백제 고분 어류 부장에 대한 시론적 고찰
백제연구
2024 .08
전남지역 ‘-치기’형 어로(漁撈)와 경험 지식 -‘훌치기’, ‘가리치기’, ‘여치기’를 대상으로-
해양문화재
2024 .06
활자본 『화어유초』의 서지학적 연구
국어사연구
2015 .01
국어 사전의 한자 어명(魚名) 오류 연구
어문론총
2020 .01
쓸 데 없는 지식은 없다
번역하다
2022 .03
複数のカテゴリ-に属する単一形式の文法化 : 言語類型論の観点から
한국일본어학회 학술발표회
2016 .03
지식의 유형과 지식 지형에 대한 인문학적 연구 방법론
인문연구
2018 .06
디지털 정보와 지식에 관하여
철학∙사상∙문화
2020 .01
0